(시인, 칼럼니스트)
World Share USA 대표
기독교 역사상 바울만큼 중요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초기 기독교 역사뿐만 아니라 전 기독교의 전체 역사를 통해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 바울이라는 이론이 없을 것입니다. 독일 괴팅겐신학교 신약신학 교수였던 거드 루데만 박사는 기독교의 창시자를 바울이라고 주장합니다. 루데만의 말에 동의할 수는 없지만 그의 취지에는 공감합니다.
바울의 공로는 왕성한 선교를 통해서 나사렛 변방의 예수운동을 세계적인 종교로 격상시켰고, 그의 서신서들을 통해 탄탄한 기독교 교리를 세웠습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삶과 사역과 서신에서 가장 잘 담아낸 사람입니다. 다시 말하면 바울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구체화하고 이론화한 기독교 실천가요 이론가입니다.
그런데 바울의 일생을 살펴보면 이토록 잘 준비된 바울의 삶과 사역은 위로는 하나님의 섭리요, 아래로는 부모들과 바울 자신의 치밀한 준비가 빚어낸 것임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하나님의 섭리에 순종하며 아들을 준비시킨 부모들 노력을 살피며, 아울러 하나님 뜻에 철저히 순종하며 하나님의 훈련과 인도하심에 적극적으로 반응한 바울도 살피려 합니다.
사도바울은 유대교 집안에서 출생했습니다. 클라우스너(J. Klausner) 박사는 외전을 인용하면서 바울의 아버지는 갈릴리의 가버나움 북쪽에 위치한 기샬라(Gishala) 출신이라고 합니다. 기원전 63년 로마의 폼페이우스가 갈릴리를 침략할 때 갈릴리 지역을 떠나 다소로 이민을 갑니다. 그곳에서 길리기아의 특산물인 염소 털(Cilicium)로 만드는 의류, 침구류, 천막들을 만드는 수공업에 성공하여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고 전해집니다.
다소는 길리기아의 대표적인 도시였습니다. 당시 다소의 인구는 약 50만 정도였고 동방에서 오는 오랜 상업도로가 지중해로 통하고 있었습니다. 동시에 이 도로는 길리기아 문(Cilicia Gate)을 통과하여 타르우스 산맥 너머 로마로 가는 길과도 통했습니다. 이런 지리적 환경은 다소를 당시에 융성한 무역도시로 만들어 주었습니다.
다소의 사람들은 길리기아(Cilicia) 평야에서 기른 염소에서 얻은 털과 가죽으로 직물과 텐트를 가공하는 특수 산업이 발달했습니다. 특히 다소의 특산물인 천막은 염소의 가죽과 염소의 털로 만들었는데 염소의 털은 생산지인 길리기아(Cilicia)에서 딴 이름 킬리시움(Cilicium)이라 불렀습니다. 당시 다소는 발달된 내륙 도로망과 항구를 통해 물류유통이 활발한 도시였습니다. 바울의 아버지는 이런 다소에서 정착하여 큰돈을 벌었고 자신의 성공을 아들 바울의 교육에 집중했습니다.
스토아학파 거점 교육도시 다소, 바울 부모도 교육열 높아
디아스포라로 선교사 되기 적합한 환경에서 교육받고 성장
한편 성공한 상공인이 많았던 다소는 교육열이 높은 대학 도시였습니다. 고대 지리역사학자였던 스트라보는 당시 3대 교육 도시를 아테네,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다소로 소개합니다. 스트라보는 이어서 다소가 가장 좋은 교육도시라고 설명합니다. 다소는 좋은 선생이 많았던 아테네나 교육시설로 유명했던 알렉산드리아보다도 더 좋은 교육도시였다고 강조합니다.
당시 다소 시민들의 교육열과 다소 시민들의 부유함이 다소를 당대 최고의 교육도시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당시 다소 사람들은 교육열이 강해서 자녀들을 다소에서 공부를 시킨 다음에 더 좋은 교육환경으로 이주하는 것이 유행이었다고 합니다. 바울의 부모들이 바울을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가말리엘 문하생으로 바울을 양육하는 것이 우연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교육 도시 다소는 스토아학파의 거점 도시가 됩니다. 다소는 당시 유명한 스토아학파 학자들을 배출합니다. 예컨대 안티파터(Antipater), 라키데머스(Rachidemus), 네스터(Nester), 아데노도러스(Adenodorus), 그리고 마르쿠스 카토(Marcus Cato) 등이 있습니다. 당시 스토아학파는 로마정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다수의 스토아학자들이 로마에서 활동했고, 세네카(네로)와 네스트로(티베리우스)는 각각 황제들의 스승이었습니다. 바울은 이런 수준 높은 도시 다소에서 태어나 자라며 헬라의 스토아 철학을 배우고 익혔습니다. 그의 인문학적 소양이 사도행전 17장 아테네 설교에서 드러납니다.
바울은 스스로를 히브리파 히브리인이라고 소개합니다. 바울이 히브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유대인이라는 말입니다. 바울은 비록 다소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히브리어를 모국어로 사용할 만큼 히브리문화권에서 자랐습니다. 바울 부모는 철저한 유대인으로 바울을 교육시켰습니다.
자료에 의하면 바울 아버지는 철저한 바리새인이었습니다. 바리새인들이 빗나가서 예수님 시대에 위선적인 사람들을 대표합니다만 본래 바리새인들은 구약성경을 사랑하고 철저한 신앙생활을 도모했던 경건한 신앙들이었습니다. 바울은 철저한 바리새인으로 살았던 부모들의 가정교육으로 성장합니다. 8일 만에 할례를 받고, 가문이 자랑하는 사울왕 이름을 따서 사울이라 부릅니다. 바울은 철저한 바리새인으로 살아갑니다.
바울은 바리새파 유대인이었지만 이방인을 탁월하게 수용합니다. 그가 다소 디아스포라로 자랐기 때문입니다. 윌리암 바클레이는 “만일 선교사로 운명 지어진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성장하기에 가장 알맞은 장소는 ‘다소’였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1세기 선교사가 되는데 가장 적합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성장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탁월한 선교사가 되었습니다.
chap1207@hotmail.com
04.17.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