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미션대학교대학원 음악과장, 학생처장
4)현대 교회 예배에서의 찬양
공식적인 회중 찬양의 모체가 되는 미리암과 백성들이 드린 찬양, 그리고 아론과 나답과 아비후와 이스라엘 장로 70인이 드린 찬양 속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을 꾸미려하거나 인위적으로 만들어 찬양하지 않았다. 그들이 드린 찬양의 내용, 그 중심은 경배, 그리고 하나님께서 행하신 놀라운 기사를 송축(축복)하는 가사가 있었다(출15:20-21, 출24:1). 이와 같은 찬양의 모습은 구약에서 언급한 최초의 회중 찬양으로서 오늘날 현대 교회의 예배에서 찬양이 나가야 할 바른 길을 제시하는 중요한 단서로 삼게 된다. 이것을 소재로 지난 회에 이어 두 번째로 오늘날 현대 교회 찬양의 현실을 진단하고 예배찬양의 바른 방향을 제시하여 찬양의 본질을 확인하고자 한다.
(2)하나님이 행하신 기이한 일들을 자랑하며 축복을 드러내는 찬양
오늘날 예배음악은 너무 많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탐미주의(Aestheticism)에 물들어가고 있다.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려고 복잡한 리듬을 구사하고, 아름다움을 더해 예술의 신비로움을 보여주려고 기본 화성을 통한 단순미를 벗어나 화려하고 복잡한 화성(Harmony)을 더 많이 구사하려고 한다. 아울러 그것을 아름답고 웅장하고 또 화려하게 연주하기위해 다양한 악기를 등장시키게 하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만들어가고 있다. 밴드 앙상블 또한 굉음에 가까운 악기들의 소리가 때로는 날카로운 소리를 더해가며 오늘날 예배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한 소리로 만들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오히려 하나님의 음악과는 점점 더 거리가 멀어져가게 한다. 악기들의 소리에 파묻혀 찬양대의 찬양에 담긴 가사를 놓치게 되거나 또 회중찬양에서는 악기들의 반주소리가 너무 커 회중의 소리를 덮어버리게 되어 찬양 안에 담겨져 있는 가사를 놓쳐버리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예배에서의 회중들로 하여금 그 음악에 동참하여 찬양하게 하기보다는 그저 감상하게 만들고 평가하게 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그가 쓴 기독교강요에서 “우리는 곡조에 더욱 귀를 기울이다가 가사의 영적 의미에는 마음을 덜 기울이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음악이란 하나님을 높여드리기 위한 도구로만 쓰여질 뿐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거기에 가사를 통해 하나님의 위대한 기사들을 고백한 내용을 함께 동감하며 송축하는 찬양이 되어야 하는데 점점 더 복잡해져가는 음악과 악기의 반주소리들에 정작 드러나야 할 가사를 가리우게 된다면 그것이 바로 목적과 수단을 바꾸게 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교회음악의 역사를 보면 르네상스(Renaissance period)가 되면서 9세기 말부터 시작된 다성음악이 꽃을 피우며 크게 발전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 요인은 중세 기독교의 절대 신본주의 규범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의 인간성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사상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문화예술에 있어 일종의 혁명과도 같은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종교적 속박에서 벗어난 인간성 회복이라는 전제하에 창의적인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본주의적 가치관을 추구하며 창작예술을 자유롭게 펼치게 되었던 것이다.
다성음악이 시작된 이후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약 5세기(11-16C)에 걸쳐 노틀담 악파(Notre Dame School), 부르고뉴 악파(Bourgogne School), 그리고 플랑두르 악파(Fladour School)의 음악인들이 다양한 음악적 기법들-디스칸투스(Discantus), 클라우즈라(Clausula), 아이소리듬(Isorhythm), 칸투스 펄미스(Cantus Firmus), 콘트라 팍툼(Contrafactum), 페로디(Perody) 모방대위법(Imitation Counter point) 등을 개발하여 화려한 음악으로의 탐구가 계속되었던 것이다. 2개의 성부로 시작한 다성음악이 여섯 성부, 팔 성부로까지 확대하며 소위 아름다움을 추구한 예술의 바벨탑을 계속 쌓아나가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발전하는 예술세계에 반해 예배음악의 본질과 목적은 점점 더 퇴색되어가게 되었다. 그 중요 요인은 화려한 음악에 대한 추구와 관심에 반한 가사(Text)에 대한 무관심이었다. 당시 대부분의 작곡가들은 멜로디를 먼저 만들어 곡을 완성하고 거기에 가사를 적용하는 작곡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들에게 있어 작곡은 화려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고, 그 안에 담았던 가사는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예배음악은 하나님의 놀라운 일 송축하는 것에 집중해야
음악의 예술적 소유욕에 빠져 본질 놓치지 않도록
급기야 카톨릭교회에서는 반종교개혁(Counter Reformation 1545-1563년)을 통해 이 같은 이슈를 하나의 문제로 삼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의 교황 피우스 4세(Pope Pius IV1499-1565)가 트렌트 종교회의(Council of Trent)에서 교회음악의 세속화에 문제점을 제시한 것이다. 그것은 교회음악이 샹송을 패러디, 세속 선율을 정선율에 사용(Cantus Firmus), 악기의 무모한 사용, 그리고 가사를 잘 알아듣지 못하게 복잡하게 음악을 만드는 모방대위법(Imitation Counterpoint)을 사용한다는 것 등을 문제로 삼게 된 것이다.
여기에 가장 큰 이슈로 지적된 것은 가사를 알아들을 수 없게 만드는 다성음악을 문제 삼았던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다성 음악이 폐지되고(일시적이었지만) 한동안 단선율의 음악만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같은 교회음악의 역사를 보며 오늘날의 예배음악을 보게 된다. 이 시대, 어찌 보면 르네상스의 그 예술의 찬란함보다 훨씬 더 화려해가고 있음을 실감한다. 이러한 때, 우리의 예배음악이 순수하게 하나님이 행하신 기이한 일들을 자랑하며 축복을 드러내는 찬양에 대한 깊은 고민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를 위한 2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오늘날 예배음악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하나님의 놀라운 일들을 축복하고 송축하는 가사를 위한 도구로만 쓰여져야 한다. 너무 복잡한 리듬이나 하모니를 구성하려 노력하지 말고 단순함으로 돌아가야 한다.
쟝쟈크 본 알멘(Jean-Jacpues von Allemn, 1917-1994) 은 그의 책 Worship: Its Theology and Practice에서 “예배를 아름답게 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풍부하게 해야 하는 것이 아니고 정결하게 해야 한다. 참 아름다움이란 정화의 도장이 되고 자기중심적인 면을 거부하는 것이다”라고 이야기한다. 이것이 바로 심미적, 자기중심적 미사여구와 비정상적 성장에 대해 엄격히 규제하는 우아함과 조화가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오늘날 예배에서 하나님의 놀라운 일들을 축복하고 송축하는 그 외침은 피조물인 인간의 소리(Human Voice)가 우선되어야 한다. 예배에서 드리는 모든 악기들의 소리가 너무 크다(물론 악기 혼자 연주할 때는 다른 것이다). 굉음에 가까운 전자악기들. 그것을 조절하는 음향기술로 더 크게 더 크게 만들려 한다. 이런 소리에 묻혀 인간의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하나님의 원하심은 모든 예배자들 자체의 소리가 우선이지, 인간들이 현대문명의 기술들에 의해 만들어 놓은 악기소리들이 우선이 아닐 것이다.
베리 리쉬(Barry Liesch)는 그의 책 The New Worship 에서 “예배음악의 본질과 기준이 어떠한 외적인 형식과 심미적인 내용, 혹은 어느 양식적인 탁월함을 근거로 한 것이 될 수 없다. 아무리 인간의 고상함과 고귀함을 느끼게 해주는 것들이라 하더라도 이들 자체가 예배자로 하여금 예배를 더욱 영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이야기한다.
목적과 수단은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문명의 발전에 의해 아무리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지라도 인간의 숨소리와 더불어 생기가 들어있는 그 생명의 울림. 그 소리를 하나님은 분명 원하실 것이다. 비록 연륜이 깊어 노쇠해져 가는 푸석 푸석한 쉰 소리가 되어갈지라도 말이다.
미리암과 백성들이 드린 찬양, 그리고 아론과 나답과 아비후와 이스라엘 장로 70인이 드린 찬양 속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을 꾸미려 하거나 인위적으로 만들어 찬양하지 않았다. C.S. 루이스는 “피고석의 하나님”이란 책에서 “소유하고픈 충동에 절대 복종하는 것은 탐욕이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우리 예배음악은 너무나 예술적 아름다움의 깊이를 소유하고픈 탐욕에 빠져서 그 신비로움에 절대 복종하다가 하나님의 원하시는 예배음악의 본질을 놓치는 것이 없는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iyoon@wmu.edu
05.29.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