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십계명 제2 계명
1. 제 2 계명의 의미
a) 때때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대표 (표시)하는 물리적인 형상을 만드는 유혹을 받았다. 고대 이스라엘의 주위에 있는 모든 이방 민족들의 신들은 사람의 손으로 만든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상을 지니고 있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기들이 섬기는 여호와 하나님을 눈으로 볼 수 없었다.
주위의 이방인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이렇게 조롱 할 수 있었다. “자기들이 섬기는 신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는 종교가 어디 있는가? 그 신은 틀림없이 가짜 신이다” 하면서 비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아론에게 강력하게 요구한 사실이 있다.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백성이 아론에게 이르러 말하되 일어나라 우리를 위하여 우리를 인도할 신을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 (출 32:1).
이 요구에 대해 아론은 백성들이 원하는 우상을 만들었다. “아론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의 아내와 자녀의 귀에서 금 고리를 빼어 내게로 가져오라. 모든 백성이 그 귀에서 금 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가매,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 하는지라” (출 32:4-5).
이것은 가나안의 신 다곤, 혹은 바알의 신상이 아니다. 이것은 여호와 하나님을 표시하는 형상이다. 하나님께서 이들에게 심판하셨다 (출 32:7-35).
나중에 북왕조 이스라엘의 여로보암이 하나님을 표시하는 형상을 만들어 이스라엘로 하여금 죄를 짓게 만들었다. “이에 계획하고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의 신들이라” (왕상 12:28).
아론과 백성들이 만든 금송아지(출애굽기 32장)를 생각하면 할수록, 그들의 행위는 더욱 가증스러워 보인다. 그들은 처음에는 송아지가 하나님의 생명력, 힘, 다산 등 모든 가치 있는 특성을 상징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의 능력을 송아지 한 마리의 힘에 비유하고, 하나님의 편재하심을 특정한 한 곳에 있는 송아지에 비유하며, 하나님의 무한한 지식과 지혜를 송아지의 지능에 비유하고,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하시고 순결하심, 하나님의 사랑, 인내, 불변성, 영원성, 정의, 진노, 인격, 그리고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존재를 송아지에 비교되는 것은 끔찍하게 잘못 대표 (표시)되고 있다.
금송아지는 하나님의 명예와 존재에 대한 끔찍한 모욕이었다. 하나님은 단순한 피조물이 아니다. 그는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한 전능하신 창조주이시다. 하나님을 어느 피조물과도 비교할 수 없다.
b) 하나님께서는 조각한 상 (당시 가나안의 바알과 아세라, 혹은 다곤 상과 같이)을 만들어 예배하는 것을 금지한다. 어떤 신이든 상징하는 모든 조각된 형상을 만들고 숭배하는 것을 금지한다.
유다의 악한 왕 므낫세가 우상을 만들었다. “그의 아버지 히스기야가 헐어 버린 산당을 다시 세우며 바알들을 위하여 제단을 쌓으며 아세라 목상을 만들며 하늘의 모든 일월성신을 경배하여 섬기며” (대하 33:3).
솔로몬이 많은 이방 여인들과 결혼하여 그 여인들을 위하여 그들의 신당과 우상을 만들었다. “솔로몬이 여호와의 눈앞에서 악을 행하여 그의 아버지 다윗이 여호와를 온전히 따름 같이 따르지 아니하고, 모압의 가증한 그모스를 위하여 예루살렘 앞 산에 산당을 지었고 또 암몬 자손의 가증한 몰록을 위하여 그와 같이 하였으며, 그가 또 그의 이방 여인들을 위하여 다 그와 같이 한지라 그들이 자기의 신들에게 분향하며 제사하였더라” (삼상 11:7-8).
이방 신들을 숭배하는 것은 첫째 계명을 어기는 일이다. 솔로몬이 이러한 우상을 섬기지 아니했어도, 자기의 부인들을 위하여 그러한 우상을 만드는 것 자체가 제 2계명을 어기는 것이다. 왜냐하면 솔로몬이 만든 우상들은 자기 부인들의 예배를 위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시편은 거짓 신들의 형상을 만드는 것을 이렇게 말한다. “열국의 우상은 은금이요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이라.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그들의 입에는 아무 호흡도 없나니 그것을 만든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가 다 그것과 같으리로다” (시 135:15-18).
2. 제 2 계명의 적용
1) 물리적인 하나님의 형상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형상도 금지한다. 마치 성부 하나님을 인간의 아버지의 모습을 우리의 마음에서 상상하면서 기도하고, 예배하는 것을 금한다.
2) 그러나 2 계명이 모든 시각적 예술 활동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 20:3-4).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형상을 만들어, 그것들에게 절하거나 섬기지 (예배) 말라고 하셨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시각적인 예술 활동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께서 시각적인 예술품을 만드셨다.
하나님께서 성막 안의 장식에 대해서 명령하신다. “너는 순금으로 등잔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가지 여섯을 등잔대 곁에서 나오게 하되 다른 세 가지는 이쪽으로 나오고 다른 세 가지는 저쪽으로 나오게 하며 이쪽 가지에 살구꽃 형상의 잔 셋과 꽃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저쪽 가지에도 살구꽃 형상의 잔 셋과 꽃받침과 꽃이 있게 하여 등잔대에서 나온 가지 여섯을 같게 할지며” (출 25:31-33).
그리고 하나님께서 제사장들이 입은 옷의 장식에 대해서 말씀하셨다. “그 옷 가장자리로 돌아가며 청색 자색 홍색 실로 석류를 수 놓고 금 방울을 간격을 두어 달 그 옷 가장자리로 돌아가며 한 금 방울, 한 석류, 한 금 방울, 한 석류가 있게 하라” (출 28:33-34).
더욱 놀라운 것은 속죄소의 그룹들을 조각하게 하셨다. 이것은 하늘의 것들의 가시적인 상징이다.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두 끝에 쳐서 만들되 한 그룹은 이 끝에, 또 한 그룹은 저 끝에 곧 속죄소 두 끝에 속죄소와 한 덩이로 연결할지며 그룹들은 그 날개를 높이 펴서 그 날개로 속죄소를 덮으며 그 얼굴을 서로 대하여 속죄소를 향하게 하고” (출 25:18-20).
제 2 계명은 조형물의 예술적인 활동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 강조점은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어떤 형상을 만들어 그것을 섬기거나 예배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C. 제 3 계명: 언어의 거룩함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여호와는 그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 (출 20:7)
1. 제 3 계명의 의미
1) 이름: 일반적으로 이름은 그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다른 사람과 구별시킨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이름은 그 사람의 성품 혹은 명예을 의미한다. “많은 재물보다 명예를 택할 것이요 은이나 금보다 은총을 더욱 택할 것이니라” (잠언 22:1). A good name is to be chosen rather than great riches, and favor is better than silver or gold (Prov. 22:1). 성경은 좋은 이름 (명예)를 택하라고 한다.
하나님은 때때로 사람들이 갖게 될 새로운 역할을 지정하거나, 혹은 그들이 누구인지에 대해 더 정확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이름을 변경하셨다.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너를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되게 함이니라” (창 17:5 아브라함은 여러 민족의 아버지).
그리고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아내 사래는 이름을 사래라 하지 말고 사라라 하라” (창 17:15 사라의 뜻은 “Princess”).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마 1:21; 예수는구원자, the Lord saves).
그러므로 “하나님의 이름”은 그분의 이름 (God 혹은 the Lord)은 하나님의 성품과 명예를 가리킨다. 이 계명은 우리가 하나님에 관해 어떻게 말하는가?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2)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히브리 성경을 보면 히브리 단어 (nasa- 들어 올리다; shawe-헛됨, vanity, emptiness, nothingness)의 합성어이며,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하나님의 이름을 헛된 것으로 올리지 말라” (You shall not lift up the name of the Lord your God to worthlessness, or vanity).
이 명령은 하나님의 이름을 어리석거나 무가치하게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하나님, 주님, 예수 그리스도”를 부주의하게 혹은 불경스럽게 사용해서는 안된다.
한 사회가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는 방식을 보면 그 사회가 하나님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한 사회가 하나님에게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사람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저주, 좌절, 그리고 혐오의 표현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더욱 많이 본다. 일반적으로 “오 마이 갓 (Oh my God)” 혹은 “Jesus Christ”라는 말들을 아무런 생각없이, 의미없이 사용하는 경우들을 볼 수 있다. 매우 잘못된 문화이다.
성경의 이름은 그 인격의 품성과 명예를 의미하는데 이 계명은 하나님의 이름을 잘못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말할 때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하나님의 이름을 부를 때에 항상 하나님의 영광과 명예를 높이면서 사용해야 한다.
특히 하나님에 대하여 농담이나 유머의 언어를 사용할 때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하나님의 이름의 명예를 훼손시키지 말아야 한다. 유머 (humor)와 농담이 우리의 삶에 필요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유머에도 진정성이 있어야 하고 하나님의 이름과 하나님의 성품을 더럽게 하지 말아야 하며, 남에게 상처를 주는 유머와 농담을 삼가야한다.
바울은 이렇게 권고한다. “음행과 온갖 더러운 것과 탐욕은 너희 중에서 그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라 이는 성도에게 마땅한 바니라. 누추함과 어리석은 말이나 희롱의 말이 마땅치 아니하니 오히려 감사하는 말을 하라.” (엡 5:3-4) (Let there be no filthiness nor foolish talk nor crude joking).
KHL0206@gmail.com
04.05.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