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학교가 위기인 상황 속 ‘학교교회’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청소년 사역단체 학원복음화인큐베이팅(대표 최새롬 목)은 16일 서울 관악구 왕성교회(길요나 목사)에서 ‘학원복음화 인큐베이팅 사역자 양성과정’을 열고 학교 내 예배와 기독동아리를 세운 교회를 소개했다. 학원복음화 인큐베이팅은 지역학교에 비신자를 대상으로 예배와 기도모임을 세워 선교적 교회학교를 구축하는 운동이다. 이날 박성광(오륜교회) 천다니엘(혜성교회) 최주영(은광교회) 목사가 사례를 발표했다.
최주영(33) 목사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청소년 시기에 접한 신앙이 삶 전체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학원복음화 학생 선교사 선배’다. 최 목사는 4명의 친구들과 기도모임을 시작해 80명이 참석하는 예배로 성장시킨 경험이 있다. 당시 최 목사를 포함해 기도모임을 세운 학생 5인 중 네 명이 목사가 됐다. 그는 이천은광교회(김상기 목사)에서 4년 간 사역하며 경험과 시행착오로 여섯 개 학교에 예배와 기독교동아리를 세웠다. 최 목사가 학원복음화를 이론과 경험을 통해 알았지만 그 과정은 쉽지 않았다. 그는 “학원복음화 사역을 시작한 2년 간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사역의 활력은 학교에서 예배를 인도해달라는 한 학생의 부탁으로 시작됐다”며 “그 학생을 중심으로 친구 선생님 학교를 위한 기도모임은 매주 성장해 30명의 아이들이 참석하는 모임으로 커졌다”고 말했다.
천다니엘(37) 목사는 교내 기도모임 기독교동아리를 세우는 학생 선교사 파송을 강조했다. 서울혜성교회(정명호 목사)에서 3년6개월 간 사역한 그는 종로구와 성북구 소재의 일곱 개 학교에 예배를 세웠다. 천 목사는 “청소년부에게 숫자의 기준보다 우리 모두가 학생 선교사라는 정체성을 전했다”며 “한 학교에서 복음화가 시작되면 아이들 사이에 ‘나도 해볼까’라는 용기가 생겨난다. 그때부터는 여러 학교에서 학원복음화가 부흥되기 시작한다”고 했다.
최새롬 목사는 “우리가 전도해야 할 아이들은 기독교 세계관이 없는 아이들이다. 여전히 전통교회적 구조와 생리를 따르는 한국교회가 이들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지혜를 발휘해야 할때”라며 “교회는 문턱이 높지만 교회가 지역사회로 직접 들어갔을 때 그 문턱은 낮아진다”라고 강조했다. 최 목사가 사역하고 있는 전국 여덟 개의 중고등학교에는 매주 6700여명의 학생이 점심예배와 기독교동아리에 참여하고 있다. 그는 “한국교회는 ‘다음세대가 사라진다’고 걱정하지만 학교는 ‘이 많은 아이들을 누가 교회로 데려갈까’ 고민한다”며 “교회 내 부서 단위를 넘어 교회 전체가 학교 내 작은 교회를 만들기 위해 간식과 섬김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12.21.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