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림대(郭林大)는 1884년 9월에 황해도에서 태어났다. 그의 또 다른 이름은 곽태종이고 호는 쾌설당(快雪當)이다. 그는 처남 안태훈 진사의 아들이자 5살 위인 ...
1918년 9월 12일에 트레이시 로즈가 작성한 제 1차 세계대전 징집 서류에 따르면 박 선(Sun Park)은 1886년 5월 27일에 한국에서 태어났다. 그의...
하도원(河道源)은 1876년경에 한국에서 태어났다. 그는 한국에서 모 교회의 장로였다. 29세의 하도원은 가족을 한국에 남겨두고 1915년 1월 15일 중국 상해...
문영운은 1880년 또는 1887년에 한국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3년경에 도미한 것으로 보인다. 리버사이드 한인장로교회 영수 ...
사병순은 1880년 5월 17일에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양신학교에 입학하면서 남평안 대리회 장로 총대, 평양 서면의 증산반석 방에다리교회 장로와 남평안 ...
백신구(白信九)는 1873년 10월 6일에 평양에서 서당 훈장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양 신학교 교장 사무엘 마펫(마포삼열) 선교사의 한국어 교사였고, 그에게...
김영훈은 1878년 평북 의주군 월화면 호암동에서 의주 부사 김유현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김유현은 국내 최초 교인이었던 백홍준의 사위 김관근의 인도로 1897년에...
이용직은 1894년 평양에서 출생했다. 1911년 그가 숭실중학을 졸업한 후 1914년까지 평남 순천에서 교사로 재직한 후 숭실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숭실 교장...
배민수는 구한말이었던 1896년 10월에 충청북도 청주에서 청주 감영 진위대의 육군보병 부교였던 배창근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1907년에 아버지 배창근이 F. S...
임창영은 1909년 10월 30일 황해도 은율군 구월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1930년에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본교 교장인 조지 S. 맥쿤(윤상온) 선교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