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구: 약 3만 2천명 / 기독교인수: 거의 0%
20세기가 시작될 때까지는 아프가니스탄 땅은 주로 여러 종족들이 연합하여 통치하고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항하는 우두머리들과 외국의 정부들이 아프가니스탄을 통제하려 했다.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은 독립국가이나 내전이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70개 이상의 종족들이 살고 있으며 난갈라미(그란갈리로도 불림)족은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의 1% 미만인 소수이다.
난갈라미족이 코나르(Konar)강 남쪽 기슭의 그랑갈리와 제미아키, 두 마을에 산다는 것 외에는 난갈라미족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지역의 기후는 온화하며 농작물을 재배하기에 적당하게 강우가 충분하다. 난갈라미족의 언어는 그랑갈리어라고 불리며 이 언어는 인도-이란 언어군에 속한다.
삶의 모습
아프가니스탄의 경제는 본래 농업과 목축에 기초한다. 산악지역에는 비옥한 땅이 거의 없는 반면 좋은 목초지가 있다. 그 결과로 난갈라미족은 어느 정도 유목적인 생활방식을 취해 계절을 따라 가축 떼를 데리고 이동한다.
이 지역의 다른 종족들과 마찬가지로 난갈라미족은 기능공들인 하위 계층과 토지소유자들인 상위계층. 기능공들의 만드는 물건에는 주로 나무공예품, 직조, 제철, 도기, 바구니 등이 있다. 시장(Bazaar)은 농산품과 기능공들의 물건을 교환하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전통적인 수공업품들은 널리 보급돼 있으며 질이 매우 좋고 때로는 매우 정교하다.
난갈라미 사회의 기본단위는 농사짓는 땅과 목초지로 둘러 쌓인 촌락이다. 토지는 가족의 남자 우두머리의 소유로 돼있으며, 목초지 사용의 권리는 그의 아들에게 상속된다. 협력은 혈족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며, 친척들은 위기나 도움이 필요한 때 서로서로 돕는다. 일반적으로 가옥들은 언덕의 경사면을 따라 세우되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서 시내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돌담으로 집안이 생활을 위한 곳과 가축을 위한 곳,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대부분의 집안 소유물들은 돌담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계층이 구별되는 것 외에도, 난갈라미족에서는 성에 따라 노동이 구별된다. 전통적으로 여자들은 빵을 준비하는데, 빵은 농사에 대한 책임을 상징한다. 남자들은 낙농의 소산을 제공해야만 하고, 이는 가축을 치는 책임을 상징한다.
신앙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에게 이슬람교가 소개된 것은 7세기경 아랍의 침입 때였다. 9세기까지 다르와지족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 오늘날에는 다르와지족의 100%가 수니파 이슬람교도들이며 기독교인으로 알려진 사람들은 없다. 다르와지족은 이슬람교도로서 유일신 알라를 믿으며 매일 기도하고 자선을 베풀고 금식하고 가능하다면 메카로의 성지순례를 한다.
필요로 하는 것들
아프가니스탄의 다수 종족들 간의 관계는 갈등으로 점철돼 있다. 역사적으로 좀 더 강했던 종족들이 약한 종족들을 지배하고자 했었다.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을 때, 누리스타니족은 강하게 저항했었다. 소련의 침공과 계속되는 내전은 아프가니스탄을 파괴시켰다. 남아있는 사회적 구조는 거의 없으며 많은 이들이 고향을 떠나 피난길에 올라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을 찾아갔다. 아프가니스탄 안에서 사역하는(비록 난갈라미족을 위해 사역하는 단체는 없으나) 선교단체들이 있지만, 매우 위험한 상태이며 선교단체 관련자들이 철수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난갈라미족에게 많은 지원과 노력이 필요한데, 이전에 무엇보다도 내전이 끝나야만 할 것이다. 내전이 끝나게 된다면 다르와지족을 섬기고 아프가니스탄을 다시 세울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주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