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스침례대학교 교수)
교회교육 행정의 마지막 단계는 평가입니다. 평가는 목표달성을 위해 계획, 조직, 실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정과 성장에 필요한 계획을 세우는데 기초가 됩니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관찰, 숫자파악, 문서와 기록 확인, 면담, 사례연구, 분석회의, 설문조사 등등. 대부분의 평가는 일상에서 접촉과 대화와 청취와 녹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평가방법들은 크게 양과 질의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두 종류는 비용과 적용면에서 차이가 납니다. 양적인 평가는 측정과 계수와 수집을 통해 모아진 데이터를 요약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질적인 평가는 행사나 경험의 과정에 대한 의미와 이해와 느낌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평가의 방법의 선택은 신뢰성(또는 의존가능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에 의해 결정됩니다. 신뢰성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측정했을 때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이는 정도입니다. 같은 방법을 다른 평가자가 사용하더라도, 평가의 상황이 달라지더라도 일관적인 데이터를 얻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당성은 방법이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을 정확히 측정했는지를 말합니다. 수집된 데이터가 상황에 적합한 것, 즉 평가방법이 상황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교회에서 평가방법을 선택할 때 중요한 것은 방법 자체보다 바른 질문과 참여자에 관해 심사숙고하는 것이며, 교회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평가방법 중 하나는 관찰입니다. 일반적으로 관찰은 질적 평가를 위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성경공부 중에 학생들이 질문하고 발표하는 횟수를 파악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찰은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알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명을 위한 방법으로서 단체가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관찰의 방법은 사역보다 관계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단체를 평가하는데 유용합니다. 관찰은 단체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심도 있게 묘사함으로써 보고서를 읽은 사람이 그 단체의 경험에 동참하게 하는 효과를 낳습니다. 비록 단기간의 관찰이라 할지라도 경험과 통찰력을 강조하는 풍부한 자료를 남길 수 있습니다.
관찰의 방법은 관찰자의 위치와 역할에 따라 네가지로 구분됩니다. 먼저, 관찰자가 노출되지 않는 관찰입니다. 참여자들이 관찰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염두에 두면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호쏜효과(Hawthorne Effect)라 하고, 그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관찰되고 있음을 알리지 않는 것입니다. 관찰자는 신분을 밝히지 않고 참여자의 활동에 동참하지도 않는 상태에서 참여자들을 관찰합니다.
다음은 참여하는 관찰자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참여자들이 관찰자를 알고, 관찰자는 참여자들과 함께 활동하며 관찰을 진행합니다. 이때 참여자의 역할은 제한적이며 중립적입니다. 다음은 관찰자가 참여자가 되는 방법입니다. 참여자들이 관찰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관찰자가 중립적인 제삼자로 있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의 친구와 동료의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은 잠복 관찰의 방법입니다. 관찰자는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지 않고 참여자들과 똑같이 활동하며 관찰을 실시합니다.
관찰에 있어 건물이나 공간의 구조, 시설과 장비, 구성원들의 특성과 역할, 활동의 목적과 내용과 기간, 진행의 순서와 방법, 분위기, 등등을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 깊은 관찰을 위해 도움이 되는 질문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누가 참여하는가? 발표는 누가하는가? 활동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무슨 대화가 오가는가? 참여자들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참여자들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참여자들 사이의 관계는 어떤가?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발생하지 않은 일은 무엇인가? 등등. 관찰한 내용을 그림이나 사진으로 남겨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관찰자의 느낌과 반응도 데이터의 일부이므로 기록으로 남겨둘 필요가 있습니다.
교회는 평가를 통해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합니다. 평가의 방법은 다양합니다. 관찰은 교회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평가방법입니다. 평가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합한 관찰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관찰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관찰자의 위치와 역할입니다. 관찰 후에는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기록을 남겨야 합니다. 교회의 리더들은 기록을 토대로 교정과 발전을 위해 새로운 계획을 세웁니다.
계속적인 계획과 조직과 실행과 평가의 행정과정을 통해 교회의 교육사역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찾는 것을 포함합니다. 또한 회중 전체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을 모든 사람들에게 알리는 사역을 위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훈련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계획, 조직, 실행, 그리고 평가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행정이 첫번째 단계 후에 두번째 단계, 두번째 단계 후에 세번째 단계 등등, 순서에 따라 진행될 때 효과적인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평가는 교육행정의 마지막 단계로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매 단계와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행정의 과정은 문제를 발견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문제를 발견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회의 사명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입니다. 사명을 숙지하면 교회가 사명달성을 위해 모든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게 되고, 결과적으로 문제를 발견할 수 있게 됩니다.
jonk@dbu.edu
09.02.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