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남네시스와 “거기 너 있었는가”

윤임상 목사

월드미션대학교대학원 음악과장, 학생처장

지난 20세기 중반 우리 민족이 희비의 대조를 이루었던 두 개의 사건을 기억합니다. 하나는 1945년 8월 15일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조국의 광복을 맞게 된 희극의 사건이요, 다른 하나는 1950년 동족상잔의 고통으로 점철되는 6‧25 전쟁 비극의 사건이었습니다. 그 사건들을 직접 경험했던 세대는 점점 줄어들어 당시 우리 민족의 해방이 주는 희열과 전쟁의 그 비열한 참상들을 이제는 전언으로 들으며 기억하고 기념하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그것은 사건에 대한 단순한 정신적 회상 이상의 것으로 만들어 과거의 일을 현재로 적용하여 그 역사적 사건을 우리 이야기의 일부로 만들어 큰 교훈으로 가슴에 담게 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헬라어로 아남네시스(anamnesis- remembering)로 정의하게 됩니다. 

미국의 노예 역사를 보면 1619년 8월 버지니아 식민지의 제임스 타운에 네덜란드 국적선의 노예선 한 척이 도착해서 20명의 흑인을 팔아넘기면서 미국에서 노예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863년 에이브러헴 링컨(Abram Lincoln, 1809-1865) 대통령이 노예제도를 폐지한 때까지 약 250년 동안 미국에서는 노예제도가 지속되었습니다. 이때 노예들에 의해 불린 찬양 중 “거기 너 있었는가 (Were You There)”가 대표적인 “아남네시스 찬송”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찬송은 미국의 아프리카 노예들이 만든 유명한 영가 (Spirituals)중 하나입니다.

당시 일부 노예들은 자신들의 불행을 하나님 탓으로 돌렸습니다. 하지만 많은 노예는 이러한 고난의 현실을 오직 하나님만이 해결해 주실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간절함을 갖고 찬양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그 중 “거기 너 있었는가” 찬송은 당시 흑인 노예들이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의 과거 사건을 현재로 가져와 자신들이 당하는 고통을 기억(아남네시스, anamnesis)하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 빛으로 그들을 변화시키려는 의미로 “그곳에 있었나요”라는 질문을 던지며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의 몸과 무덤에 묻히시고 부활하신 것을 상기시키려 한 것입니다. 이것을 통해 그들이 그분께 더 가까이 가기로 선택하며 이런 찬양했던 것입니다.

찬양 속에 담긴 그들의 고통과 아픔이 벧전 4:1에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런즉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육체 안에서 고난을 당하셨으니 그와 같이 너희도 같은 생각으로 무장하라. 이는 육체 안에서 고난을 당한 자가 이미 죄를 그쳤기 때문이니” 이 서신의 저자 베드로는 환난 가운데 있는 성도들에게 그리스도로 인한 산 소망을 제시하여 그 역경 속에서도 담대하고 흔들리지 말라고 격려하려는 목적을 갖고 이 베드로 전후서를 썼습니다. 이 서신 가운데 특히 우리가 고난을 받을 때 그리스도와 같이 인내와 희망을 품으라는 권면을 보게 됩니다. 당시 미국의 흑인들(Afro. American)은 노예 생활을 당하며 그 고통 속에서 이와같은 인내와 소망을 갖고 “거기 너 있었는가?”라고 진하게 질문했던 것입니다. 그 이면을 보면 그들은 비록 자신들을 노예로 삼은 저들이 많은 자유를 빼앗을 수 있지만 하나님을 찾는 자유는 결코 빼앗을 수 없을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그 현실을 저항하며 외쳤던 울림이었을 것입니다

이 곡은 회중교회 목사이며 작가인 윌리엄 바튼, William Eleazar Barton, 1861-1930)이 1899년 “오래된 식민지 찬송(Old Plantation Hymns)”이라는 찬송가집 안에 처음 출판하여 대중에게 알리게 된 것으로 작곡자는 알려지지 않습니다. 이 곡이 점점 더 대중화가 되면서 다양한 교회 찬송가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40년 버전에 최초로 이 노래를 성공회 찬송가에 포함시키게 되었던 것입니다.

놀라운 것은 그 시대 노예들의 고통과 아픔들을 통해 나타난 음악들이 후에 미국 음악 뿌리의 근간으로 나타나 두 가지 장르의 음악을 만들어냈습니다. 하나는 블루스입니다. 들판에서는 종종 침울하고 애절한 방식으로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리하여 블루스 스타일이 시작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가스펠입니다. 교회에서 노래는 고양되고 즐거운 방식으로 불렸습니다. 그리하여 가스펠 음악 스타일이 시작되었습니다. 여기에 영가의 깊은 울림 속에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이것이 고난 속에 나타난 역설의 하나님 찬양에 대한 열매들입니다.

“거기 너 있었는가”는 네박자 형태를 가지고 전형적인 두박자 형태의 블루스 리듬과 함께 많은 루바토를 사용하여 표현하게 되는 곡입니다. 이러한 리듬 형태를 보이고 멜로디로 표현되는 것 안에 노예의 서러움과 애절함 속에 슬픔을 담아내는 멜로디로 구슬픈 울림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기에 가사는 그리스도께서 받으신 고난을 상기시키며 자신들의 아픔을 대변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이 찬양을 통해 하나님 안에서의 고난은 저주받은 자가 아니라 축복받은 자라는 사실을 일깨우게 합니다. 그래서 C. S. 루이스 (Clive Staples Lewis, 1898-1963) 는 “고통은 베일을 벗기고 반항하는 영혼의 요새 안에 진실의 깃발을 꽂는다”라는 역설의 빅토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요즘 우리는 올해의 사순절 기간을 지내며 그리스도의 수난의 순간들을 기억하고 가슴에 새기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고통을 기억(아남네시스(anamnesis)하며 복음으로 인한 진실의 깃발을 꽂는 시간들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하여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은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모두 내 것이 아닌 하나님 것이란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마땅한 삶을 살아내야 합니다.

iyoon@wmu.edu

03.18.2023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