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73.아버지의 실상과 권위회복

이재근 목사

미주 가정선교회 대표

의사도 면허가 있어야 하고, 운전자도 라이선스가 있어야 운전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라이선스가 없습니다.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누구나 아버지가 됩니다. 많은 아버지들, 평신도 아버지는 물론이고, 목회자 아버지들도 아버지에 대한 지식이 없이, ‘무면허 아버지’로, 그저 아버지 노릇만 하면 되는 줄 알고 막연하게 아버지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오늘날 가정의 문제는 아버지의 역할을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무면허 아버지’가 잘못된 판단으로 가정을 이끌어 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아버지의 문제는 그동안 참다운 아버지상, 아버지의 모델이 없었기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좋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지 못했음이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봅니다.

성경상의 믿음의 선진들을 보아도 참다운 아버지상, 아버지의 모델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1)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을 봐도,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끝까지 믿지 못하고 사라의 종인 하갈과 동침하므로, 이스마엘을 낳게 되어 오늘까지 중동의 불씨를 낳게 했고, (2)순종의 조상 <이삭>도 야곱의 약은 꾀에 속아 축복권을 잘못 행사하므로, 형제우애에 금이 가게 했고, (3)축복의 조상 <야곱>은 4명의 부인들로부터 배다른 형제를 12명이나 낳게 했고, 요셉을 편애하므로 형제간에 시기와 미움, 갈등을 일으키게 했고, (4)위대한 지도자 <모세>도 본 부인을 두고도 이방 여인 구스여인을 취하므로 아론과 미리암으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며, (5)성군 <다윗>도 밧세바를 탐하여 간음죄와 살인죄를 짓게 되고, 배다른 형제간의 왕위쟁탈과 남매간 근친상간, 그리고 왕권을 탈취하려고 구테타까지 일으켰고, (6)지혜의 왕 <솔로몬>은 700명의 후비(왕후)와 300명의 첩과 후궁을 거느리는 일부다처와 우상숭배에 빠져 결국 나라를 남북으로 갈라지게 하고 멸망의 길로 이르게 했습니다. 이같이 영적 훈련과 연단을 통해 믿음의 조상, 순종의 조상, 축복의 조상, 위대한 지도자, 성군, 지혜의 왕이 될 순 있었지만, 정말 본받을 만한 아버지상을 찾아볼 수 없음이 안타깝습니다. 이것이 바로 부권상실의 단초가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이같이 가정에서도 성경에서도 참다운 아버지의 모습을 보지 못했고, 바른 아버지의 삶을 배우지 못했고, 아버지로부터 그 어떤 좋은 영향도 받지 못했던 아버지들이 근대화, 산업화, 민주화, 여성 평등, 여성상위 등의 사회적 변천으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한 반면, 남편은 근로조건 악화로 일자리를 잃으므로, 남편의 전업주부화가 증가 추세임이 사실입니다. 

 

가정문제의 본질은 부권상실, 부권회복 절실

 

우리는 흔히 한국의 아버지는 가부장적인 권위주의에 빠져 있다고들 말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지나간 옛 이야기입니다. 지금은 권위가 땅에 떨어질 때로 떨어져 권위는 커녕 매맞는 남편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입니다. 아버지가 집에 돌아와도 자녀들이 모른체 합니다. 자녀들에게 전화를 해도 받지도 않고 그냥 어머니께 돌려줍니다. 부인은 남편이 돈도 많이 벌어주지도 않으면서 매일 술이나 먹고 밤늦게 들어오고 고성방가하고 횡패나 부리는 것을 보고 사람취급도 하지 않고, 집에도 못 들어오게 대문열쇠까지 바꿔 내몰아쳐 버리기까지 합니다.

지금 한국에서는 절대적인 전통적 가정문화와 자식들의 신세대 문화에도 적응하려고 노력하는 40, 50대를 ‘서글픈 낀세대 4050 아버지들’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낀세대 아버지들은 고달픈 직장 생활과 자녀교육비와 가족부양까지 떠맡으며, 힘겨운 기러기 어버지의 생활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녀교육 등 중요한 가정사에서는 아내의 발언권이 강해지고, 아버지들은 아이들에게서도 외면당하기 일쑤라는 것입니다.

아버지의 권위는 상실되었고, 아버지는 가정에서 아내와 자녀들에게까지 외면당하고 왕따당하고 있습니다. 이제 아버지는 물러설 곳이 없습니다. 이제 가정에서 아버지는 없습니다. 아버지 부재 (Fatherless)의 가정만 있을 뿐입니다. 가정이 다시 회복되고 살기 위해서, 아버지의 권위주의는 버려야 하지만, 아버지의 권위는 세워져야 합니다. 아버지의 권위는 하나님이 준 것이며, 아버지의 권위가 세워져야 가정의 질서가 회복되고, 가정의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아버지의 권위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먼저 아버지 자신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즉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자각(아버지의 영향력, 남성상, 영성, 사명), 자녀들에 대한 헌신, 자녀들과의 대화, 그리고 가정예배의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모든 가족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아내의 남편 인정과 기 살리기, 자녀들의 아버지에 대한 존경 등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아버지의 권위가 회복됩니다.

jaekunlee00@hotmail.com

 

10.07.2023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