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동원 박사 (미드웨스트대학교 교수, 리더십학자)
이 시대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은 책임감
우리에겐 아직 다가오지 않은 장밋빛 미래와 하루를 견디기 힘든 오늘이 있다. 미래의 소망과 오늘의 현실은 인간에게 모두 중요한 대상이다. 사람의 우뇌는 미래지향적이고, 좌뇌는 현실중심적이다. 우뇌형의 인간은 미래와 가능성을 멀리 내다보고 그 가능성으로부터 변화의 기회를 찾아내는 사람이다. 이에 반해서 좌뇌형의 인간은 현실과 일상적인 요구에 대응하여 현재의 계획을 추진하는 사람이다. 커피를 갈아서 금을 캔 사람, 천년의 커피 역사를 뒤집는 성공신화를 이룩한 경영의 천재, 스타벅스 커피회사를 재창조해낸 사람인 하워드 슐츠는 우뇌형의 사람이었다. 남달리 책임감이 강한 그는 암울한 현재를 넘어서 화려한 미래를 바라보았던 사람이었다. 참된 리더인지를 결정하는 요소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책임감(Responsibility)이다. ‘책임’이라는 말은 ‘맡아서 해야 할 의무나 임무’로 정의할 수 있다. 리더는 조직을 운영할 때 그들이 합의한 목표와 방향대로 이끌어갈 의무가 있다. 철저한 인식과 실천 의지가 바로 책임감인데, 비전에 대한 책임감, 조직과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 동료와 추종자들에 대한 책임감, 사회와 국가에 대한 책임감 등이 바로 그것이다. 진정한 리더라면 이런 책임감을 통감하고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이 시대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은 바로 리더의 책임감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리더가 되라
리더의 중요성은 공동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면에서 교회 공동체에서 영적리더의 리더십은 교회의 존재 기반이 될 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공동체를 구하는 영적리더는 어떤 모습일까? 영적리더는 교회지도자들을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에게 초점을 맞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다른 사람의 자질, 낡고 관료적인 시스템, 교회의 재정상태, 동료들과의 관계 등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요인들을 열거하면서 그것들을 비난하거나 손가락질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문제를 기회로 보고 책임감을 가지고 주도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최상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크든 작든 간에 모든 리더에게는 책임이 주어진다. 진정한 리더는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을 완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때로는 그 책임이 너무 부담스러워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영적리더는 책임감과 부담감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자신과 조직 그리고 교회에 닥친 위기와 문제를 올바로 해결하여 목적을 올바로 이루고 교회를 선한 길로 인도할 수 있다.
▷Acknowledge the situation: 상황을 인정하라. 기업이나 조직사회 또는 교회 안에서 예측할 수 없는 일들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리더는 갑작스런 불청객의 방문에 당황하지 말고 상황을 빨리 수긍하고 인정해야 한다. ▷Courageously face difficulties: 어려움에 용감하게 맞서라. 공동체에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변명을 하거나 도피하거나 쉽게 반대세력과 타협하는 경향이 있다. 신뢰받는 리더가 되려면 조직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플랜을 가지고 어려움에 용감하게 맞서야 한다.
▷Communicate with positive language: 긍정적인 말을 하라. 시기와 질투 그리고 반대세력의 비판을 접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부정적이고 감정적인 말과 태도로 상대방을 대하게 된다. 그러나 준비되고 훈련된 리더는 어느 순간에도 방심하지 말고 미래지향적인 말과 태도를 보여야 한다. ▷Own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문제도 해답도 모두 내게 있다. 인생의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을 구체적으로 적어 놓은 비법은 이 세상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탁월한 리더는 평소에 준비하고 훈련된 리더십 마인드를 가지고 난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Understand other’s viewpoints: 다른 사람들의 시각을 이해하라.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 먼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이해심을 갖고 인내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로는 이야기를 정성껏 들어주는 과정에서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나오고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 질 때도 있다. 리더는 독선적인 태도로 문제와 사람을 대하지 말고 겸손한 마음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Negotiate solutions that work for everyone: 협상으로 윈-윈 전략을 찾아라. 흑백논리를 가지고 문제를 대하면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실패할 확률이 높다. 인간관계란 홀로 무인도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을 통해 부딪치고 이해하고 용납하면서 문제해결을 하고 조직원을 이끌고 목표를 향해 나가야 하는 것이 리더의 임무이다.
▷Take on new responsibilities: 새로운 책임을 기꺼이 떠맡아라. 일이 전문화되고 업무량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책임이 늘어난다. 새로운 일에 대한 부담감과 늘어나는 책임감은 리더를 압박시키고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리더는 그럴 때마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그대로 노출시키지 말고 세련된 매너와 절제된 행동을 통해 새로운 책임을 떠맡아야 한다. ▷Act, don’t simply react: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행동하라. 실행하고 실천하라. 햄릿과 같이 생각만 해선 리더의 중직을 수행해 나갈 수 없다. 때론 돈키호테처럼 과감히 행동하고 성취를 위해 적극성을 보여야 목표달성은 가능한 것이다.
▷Initiate thoughtful and deliberate problem solving: 깊이 생각하여 문제 해결을 주도하라. ▷Take pride in your results: 자신이 한 일에 자부심을 가져라. 당신은 권한과 책임을 함께 갖고 있는 리더이다. 남의 탓만 하는 무기력증에서 탈피하라. 책임회피형 인간에서 ‘책임지는 인간’으로 거듭나라. 당신이 올바른 책임감(Accountability)을 갖게 될 때 비로소 당신은 주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리더가 될 것이다. 당신은 지금 어떤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가?
주도적인 리더가 되라(Be Proactive Leader)
주도성은 실존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둔 것으로 오늘의 불합리한 세상을 살아가는 영적리더들에게 매우 중요한 삶의 지혜를 제공한다. 비기독교적 가치관과 구조가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영적리더로 바르게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것은 많은 비즈니스맨, CEO, 학생들이 매일의 삶의 현장 속에서 부딪히는 현실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영적리더가 근무하는 회사에서 이중장부를 기록하는 것이 자신에게 맡겨진 미션이라면 당신은 그것을 거부하고 다른 회사를 알아볼 것인가? 아니면 그대로 모르는 체 타협하고 말 것인가? 하이스쿨 학생이 매 주일마다 특강을 하겠다고 불러내는 학교의 정책에 따를 것인가 아니면 교회에 예배드리러 올 것인가?
탁월한 리더는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또한 내가 변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의 동심원을 파악하고 바꿀 수 있는 것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주도적이 되어야 한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주도적인 리더가 되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하고 변화시킬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겸손하게 자신의 한계를 인정해야 한다. 특별히 영적리더는 믿음을 가지고 어려움을 주님께 맡기고 내가 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을 구별할 수 있는 지혜를 달라고 기도해야 할 것이다. 나는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리더십의 원리를 연구하여 솔선수범하는 리더, 진취적인 리더 그리고 사전 대책을 강구하는 주도적인 리더가 되기를 소망한다.
끊임없이 쇄신하는 변혁적 리더가 되라
낡은 톱날로는 나무를 벨 수 없듯이 리더의 임무 수행은 지속적인 자기 쇄신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리더는 신체적, 감정적, 정신적 그리고 영적인 분야에서 자기 자신을 날마다 규칙적으로 단련해서 균형된 삶을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 심신의 피로 때문에 생산성이 고갈되는 것을 막고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해나갈 수가 있다. 근본적 가치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조직변화를 추구하는 리더가 되라. 낡은 조직을 걷어내고 과감히 새로운 조직으로 대체하는 리더가 되라. 리더여, 끊임없이 쇄신하는 변혁적 리더가 되라.
sondongwon@gmail.com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