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하나님 안에서 “하나 됨”과 부흥”으로 나아간다!

CT, 9.11테러 직후 ‘일치와 부흥’ 희망 실현되지 못한 원인 비판적

2001년 9.11테러 직후는 이상하고 두려운 시간이었지만 동시에 희망적인 시간처럼 보였다. 2001년 필립 얀시는 "9월 11일에 우리나라에 엄청난 관점의 변화가 일어났습니다"라고 썼다. 잠시 동안 그는 생각했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이 바뀌었다는 느낌은 ‘우리가 우리의 땅, 우리 사회, 그리고 우리 자신을 새로운 방식으로’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죽음을 의식적으로 자각’하게 했고,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삶을 사소한 것으로 채우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했으며,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영적 뿌리로 돌아가도록’ 강요했다.”

당시 다시 미국이 하나가 돼야 한다는 ‘일치’에 대한 이야기는 어디에나 있었다. 교회 출석률이 급증했고 기독교 지도자들은 국가적 부흥을 예언하기 시작했다. 2001년 연설에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미국인들의 품위, 친절, 서로에 대한 헌신을 칭송했다. 이제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이 철수한 9.11 공격 20주년을 맞아 우리는 이렇게 질문해야 한다. 그 희망이 이루어졌는가?

그러나 우리는 확실히 일치/하나됨을 유지하지 못했다. 순식간에 기독교인들은 우리가 군사 침공, 고문, 애국법 등을 지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그 이후로 우리의 정치적 분열은 더욱 첨예해지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현재 정치적 담론은 반역과 심지어 내전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크리스처니티투데이(Christianity Today, CT)는 9.11테러 20주년을 맞아 우리가 하나 되지 못한 것은  유일한 실망이 아니라고 말한다. 예언된 부흥도 결코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Why 9.11 Brought Neither Unity Nor Revival: Many Christians think spiritual renewal followed the terrorist attacks, but the record shows otherwise).

 

9.11테러 이후 몇 주 동안 교회는 사람들로 가득 찼지만 곧 "미국의 종교 관행에 큰 각성이나 심오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2001년 11월에 갤럽 편집장은 지적했다. 

바나리서치 역시 2006년에 그 결론을 확인했다. "영성과 믿음의 19가지 차원"을 추적한 결과 공격전 조치와 "19가지 지표 중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시 말해서 9.11 공격은 미국 기독교인들을 더 정통신앙이나 더 일관된 기도습관, 교회출석 또는 성경읽기 습관으로 가는 궤도에 올려놓지 않았다. 우리가 신앙의 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한 미국 종교의 쇠퇴는 빠르게 계속됐다.

2001년에 필립 얀시가 삶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보았던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미국인들은 개가 토한 것을 다시 삼키는 것처럼 하찮은 일과 고조되는 반감으로 돌아섰다(잠26:11). 죽음을 새롭게 인식하는 문화로서 우리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또는 "너는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네가 죽을 것을 기억하라"를 뜻하는 라틴어 낱말)를 진지하게 숙고하는 것이 아니라, YOLO(you only live once)의 무모함을 받아들였다. 바나리서치의 데이빗 킨너맨은 이렇게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11테러가 영적 각성을 촉발했다는 신화는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2013년 바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특히 거듭난 기독교인은 9.11 테러가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돌이키게 만들었다’고 믿습니다.”

그렇다면 9.11테러 직후 미국인들 특히 크리스천들이 그토록 희구했던 ‘하나됨’과 ‘영적부흥’이 기대만큼 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우리가 희망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전혀 희망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성품과 구속에 대한 기독교인의 신뢰는 “악이 있을 때 선이 따를 것”이라는 성경적이지 않은 브로마이드로 뒤덮인 미국의 낙관주의보다 덜했다.

미국인들은 "모든 것은 이유가 있다"고 믿으며 짧은 시간이 지나면 슬픔은 항상 기쁨으로, 고통은 성화로 바뀔 것이라고 믿는다. 미국인들은 로마서 8장 28절을 인용한다. “하나님이 범사에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의 유익을 위하여 역사하시는 줄을 우리가 아노니”에서,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이 어떻게든 잘 될 것이라는 의미로 잘못 해석한다.

그러나 이것은 종말론적 차원에서 그렇게 실현된다. 하나님께서는 언젠가 우리가 그분과 함께 완전한 기쁨과 공의를 살게 될 것이며 “더 이상 죽음이 없을 것입니다.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라”(계21:4, NASB).

하나님은 개인으로서든 사회를 위해서든 확실하게 더 나아지는 삶을 약속하지 않는다. 때로는 악이 발생하고 수세기 동안 계속 발생한다. 때때로 일이 잘 풀리지 않고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에 대해 전혀 예측할 수가 없다.

또한 목회자이자 작가인 팀 켈러가 관찰한 것처럼 고통이 "자연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성장이나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적절하게 처리하거나 참을성 있고 성실하게 대처해야 한다.” 2001년 가을에 몇 차례동안 사람들이 많이 참석한 주일예배는 길고 느린 성화과정에 대한 약속이 아니다.

실망스러운 희망에 대한 두 번째 대답은 9.11을 기억에 어떻게 보존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절대 잊지 마세요." 우리는 오늘까지 계속해서 말했다. 우리가 의미한 것의 일부는 "우리가 잃은 사람들과 공포 속에서 도운 평범한 미국인들의 영웅심을 절대 잊지 마세요"였다. 또 다른 부분은 복수였다. 2001년 9월 연설에서 부시는 미국인들에게 “우리나라와 그 상처를 입힌 사람들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우리의 "분노" 속에서 조국이 찾은 "사명"에 결코 굴복하거나, 쉬거나, 뉘우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일부 기독교인을 포함해 너무 많은 미국인이 복수심에 불타는 방식으로 이 대응을 채택했다.

우리가 9,11이 벌어진 원인과 테러리스트들의 엄청난 잘못에 대해 화를 내는 것은 옳았지만 어느 시점에서 해마다 그 분노를 연습한다고 해서 예수님이 추종자들에게 명하신 정의, 사랑, 용서로 우리를 움직이지 않았다. 그것은 우리를 분노와 적개심과 원한으로 움직이게 하고 그것이 가져오는 모든 고난과 함께 한다(히12:15).

우리가 기억하는 방법은 우리가 기억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신학자 볼프(Miroslav Volf)가 주장한 것처럼 우리는 “진리를 알고자 하는 열망과 적개심을 극복하고 사랑 안에서 친교를 이루려는 열망으로” 기억하도록 자신을 훈련해야 한다.

올해 9.11테러를 다시 기억하듯이 그 기억을 바꾸기에는 아직 늦지 않았다. 2001년 우리가 원했던 화합과 부흥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하기에 너무 늦지 않았다.

우리는 정치에서 더 평화롭고 신중해질 수 있다. 우리는 여전히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으며, 그분은 우리에게 가까이 오실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이 구원의 날”(약4:8; 고후6:2)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여전히 진정한 희망, 즉 역사적 미국의 낙관주의가 아니라 인내, 성품, 하나님의 사랑을 통해 오는 더 큰 희망을 배울 수 있다.

09.18.2021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