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는 내과의사가 크리닉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질병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방문환자의 30%이상이 감기환자인데 일반감기는 알려진 데로 마땅한 치료약이 없다. 따라서 콧물, 기침이 심하면 알러지 기침약을 쓰고 열이 나면 타이레놀과 같은 해열제를 써서 열을 떨어뜨린다. 가래...
감기는 약을 먹으면 치료하는데 일주일이 걸리고 약을 먹지 않으면 7일이 걸린다는 말을 흔히 한다. 감기는 그 자체를 치료할 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대부분 저절로 낫기 때문에 증상치료만 하면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감기 후에 올 수 있는 폐렴과 같은 합병증에 대한 불안 때...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은 글자 그대로 장(소장과 대장)이 너무 민감해서 비정상적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복통을 호소하거나 설사나 변비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 병은 미국에서 가장 흔히 진단받는 위장관계 진환이고 감기 다음으로 흔한...
호흡기 질환은 전염성 질환의 대표적인 유행성 감기부터 합병증인 폐렴이나 결핵 등 전염성 호흡기 질환도 있고 흡연이나 화학물질 등에 만성적인 노출로 인한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외부에 대해서 기관지가 과민하게 반응하는 폐의 염증 질환인 기관지 천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질환들도 많이 늘고 있다. 전립선암이나 치매, 파킨슨씨 질환과 같이 노인 인구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질병들도 있고 음식을 삼키는 근육이 약화 되면서 음식이 식도로 넘어가지 않고 폐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처럼 노...
방광염은 여성 대부분이 일생에 한 번쯤은 겪는 매우 흔한 요로 질환이다. 방광염이 진행해서 신장에 감염되면 신우신염(pyelonephritis)이 되고, 이때 감염이 혈중으로 들어가게 되면 요로 패혈증(uro sepsis)이 된다. 따라서 흔히 대장균(E.coli)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