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인터넷 뉴스

마오쩌둥 혁명의 고장에 대형 기독교 테마파크 오픈

중국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에 대형 기독교 테마파크가 들어섰다. 부지는 총 15만㎡(약 4만 5375평)으로 용인 에버랜드(14만8000㎡)와 비슷하다. 기독교 시설물로는 중·남부 중국에서 최대 규모다. 6일 환구망과 글로벌타임즈 등에 따르면 창사 싱사(星沙) 생태공원이 지난 1월 1단계 공사를 마치고 춘제(春節·음력설)에 맞춰 문을 열었다. 싱사 생태공원은 창사 시정부와 후난성 기독교협회가 손잡고 만든 기독교 테마파크다. 후난성 기독교협회 측은 테마파크 안에 초대형 교회와 성경연구소 등이 들어선다고 밝혔다. 최상층에 십자가를 올린 교회는 오는 6월 문을 열 계획이다. 창사 시정부는 싱사 생태공원을 관광 명소로 활용할 방침이다. 창사 시정부 관계자는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웨딩 사진을 찍기 좋은 낭만적인 웨딩 파크로 꾸며졌다”면서 “관광객은 물론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 곳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창사 시정부 홈페이지에는 싱사 생태공원에 대해 ‘지방정부 후원 사업으로 후난 건설사업 운영회사에 하청을 줘 건설됐다’는 설명이 나와 있다. 중국의 일부 네티즌들은 그러나 싱사 생태공원이 기독교 테마파크로 조성됐다는 점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다. 지방정부가 특정 종교를 부각시키는 대규모 시설물을 건설한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등에는 “지방 정부가 중국의 주류 이념과 배치되는 종교적 이념의 침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거나 “마오쩌둥 전 주석의 고향에 특정 종교를 고취시키는 테마파크가 들어서다니 용납할 수 없다”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창사는 진나라 때부터 교통 및 경제 중심지로 주목을 받았다. 중화민국 건국 후인 1933년 창사시로 바뀌었고 후난성의 성도로 지정됐다. 창사는 무엇보다 마오 전 주석의 고향이자 공산주의 혁명의 본거지로 유명하다. 마오 전 주석은 1919년 창사에서 학생·상인·노동자들만의 연대단체를 결성해 항일운동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는 등 혁명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정부가 승인한 교회만 인정하고 있다. 2014년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에 따르면 개신교인은 4000만명이 넘는다. 지하교회 교인들을 합치면 1억명이 넘을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 항저우(杭州) 등에선 성정부가 종교 개조를 명분으로 십자가와 교회 건물 다수를 철거했다.

트럼프 '종교검증' 입국심사 도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미국에 입국하는 사람들은 "종교 및 개인의 자유라는 우리의 가치들을 완전히 받아들인다"는 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국가조찬기도회 연설에서 "미국에서 종교의 자유가 위협받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의 신념과 가치를 믿고, 충실히 따를 수 있는 외국인에 한해서만 미국 입국을 허용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관대한 이민 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그러나 관대함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사람들, 폭력을 퍼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편협성이 미국에 퍼지게 하는 교두보를 허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종교의 자유를 보호해야 하며, 이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고 다짐하면서도 "동시에 미국은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앞으로 목사가 교회에서 (선거)후보자를 지지하는 발언을 허용하는 등 교회 내 정치적 표현의 한계를 없애겠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슬람국가'(IS) 격퇴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동참도 주문했다. 그는 "우리는 IS에 의해 평화로운 이슬람교도가 잔혹해지는 것을 목격했다"며 "모든 나라는 IS가 기독교도에 행하는 폭력에 대항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호주 등 외국 정상과 '거친' 전화통화를 한 것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우리는 거칠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는 위험에 처해 있고, 다른 나라들이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바로잡겠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자신이 진행한 NBC방송의 리얼리티 TV쇼 '어프렌티스'의 후임 진행자인 영화배우 아널드 슈워제네거를 위해 기도하자고 비꼬기도 했다. 이 소식을 접한 슈워제네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로 직업을 바꾸자"고 응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민주당을 지지하는 슈워제네거가 진행한 후 이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크게 떨어졌다며 비판해, 두 사람 간에 신경전이 벌어진 바 있다.

트럼프 “종교기관 정치활동 허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회 등 종교기관의 정치활동을 금지한 헌법조항을 폐지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는 2일 워싱턴DC에서 열린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해 “존슨 수정헌법 조항을 완전히 제거해 신념의 대리인들이 보복의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존슨 수정헌법 조항은 1954년 제정된 것으로 종교기관이 정치적 발언이나 활동을 할 경우 면세혜택을 박탈하도록 하고 있다. 헌법 수정을 제안한 린든 존슨 당시 상원의원의 이름을 딴 이 조항은 정치와 종교의 엄격한 분리를 규정하는 헌법정신을 강화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당시에는 아무런 논란 없이 의회에서 통과됐다. 그러나 최근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일부 보수 기독교 단체에서 이 조항의 폐지를 주장해 왔다. 뉴욕타임스는 존슨 수정헌법 조항 폐지는 트럼프를 지지한 보수 기독교 단체에 큰 승리를 안겨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수정헌법 조항은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폐기할 수 없으며, 의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만약 폐기될 경우 교회나 목회자들은 정치적 발언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특정 후보를 위해 정치자금도 기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교회가 정치에 개입하면 상당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발파라이소대학의 데이비드 허지그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교회의 정치적 활동이 허용되면 교회나 절 등 종교기관이 슈퍼팩(무제한 정치자금 후원회)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종교자유를 위한 침례교합동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교회를 정치화하는 것은 교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교회가 선거에 개입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교회의 당파적 분열을 초래하고 안식을 제공하는 교회의 능력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반대했다. 교회의 정치 참여에 대한 일반 여론 역시 부정적이다. 2015년 기독교계 여론조사기관인 라이프웨이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79%는 목사가 설교 중에 특정 정치인 또는 후보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는 또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특정인에 대한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이 행정명령이 시행되면 가게 직원이 종교 신념에 반한다며 타 종교나 동성애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진보성향의 단체들은 ‘차별 허용법’이라며 반발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여러 가지 구상이 있지만 아직 대통령의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 정부, 입국금지 무슬림 7개국 비자발급 재개 입국 허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4일 미국 입국이 금지된 무슬림 7개국 출신 국민들의 미국 입국을 허용했다. 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 이민 행정명령에 대한 효력정지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항공사들은 미국행이 차단된 이들의 항공기 탑승을 재개했으며, 행정명령 발동 이후 취소된 6만여명의 비자는 회복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러나 법원 결정의 효력정지를 요청하기로 해 법정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애틀 연방지법은 지난 3일 무슬림 7개국 국적자의 미국 입국과 비자발급을 한시적으로 금지한 행정명령의 효력을 미 전역에서 중단하라고 결정했다. 법원이 행정명령의 효력을 미 전역에 걸쳐 정지시킨 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발동한 지 1주일만이다. 법원 결정 이후 각 항공사들은 행정명령 적용 대상자들의 입국을 허용한다는 지침을 받고 탑승을 재개했다. 국토안보부와 미국 세관국경보호국도 행정명령 이후 취한 모든 조치를 유보했다. 소송을 주도한 밥 퍼거슨 워싱턴주 법무장관은 “대통령이라 해도 법 위에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이번 법원의 결정은 헌법의 승리이자 미국적이지 않은 행정명령이 우리를 안전하게 만들지 않는다고 믿는 우리 모두의 승리”라고 말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거세게 반발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가능한 한 이른 시일에 법무부가 ‘터무니없는’(outrageous) 법원 명령의 효력 정지를 긴급 요청해 합법적이고 적절한 대통령 행정명령을 방어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나중에 ‘터무니없는’ 이라는 표현을 뺀 성명서를 다시 배포했다고 CNN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이라크·시리아·이란·예멘·리비아·수단·소말리아 등 무슬림 7개국을 잠재적 테러위험이 있는 나라로 지목하고, 이들 출신 국민들의 미국 입국을 90일 동안 금지하고 난민 입국을 120일 동안 불허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한편 CBS가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의견이 51%로 나타나, 찬성(45%)보다 약간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7%는 난민 유입을 120일간 봉쇄한 이번 조치가 ‘미국의 건국이념에 배치된다’고 말했다. ‘건국이념에 부합한다’는 반응은 35%에 그쳤다. 그러나 지지정당에 따른 답변은 정 반대로 나타났다. 공화당 지지 성향 응답자의 85%는 행정명령에 찬성한 반면, 민주당 지지 성향 응답자의 85%는 반대했다. 공화당 지지자 10명 중 7명은 ‘행정명령이 건국이념에 부합한다’고 말한 반면 민주당 지지자 10명 중 8명은 ‘어긋난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도는 40%로 나타나, 갤럽의 국정지지도 조사가 실시된 1953년 이후 가장 낮았다. 트럼프 대통령을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48%였다.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