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종교에도 사드 보복? 한국 선교사 무더기 추방
중국 옌볜에 거주하는 선교사 A씨는 지난 12일 저녁, 집안에서 쉬고 있다가 갑자기 들이닥친 공안에 체포됐다. 중국에서 금지하는 선교 행위를 했다는 이유였다. 그런데 체포된 것은 A선교사만이 아니었다. 그의 가족 전체가 불려가 밤샘조사를 받았다. 공안들은 “공산주의를 무너뜨리려고 하는 것 아니냐”며 윽박질렀다. 조사를 마친 공안은 A선교사 가족에게 즉시 출국할 것을 명령했다. 결국 그는 체포된 지 8일 만에 한국행 비행기를 타야 했다. 짐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였다. 15년 간 기도와 눈물을 뿌렸던 선교 사역은 이렇게 막을 내렸다.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한국인 선교사 17가정이 최근 강제 출국을 당했다고 복수의 선교단체 관계자들이 26일 밝혔다. 한 단체는 금명간 3가정이 추가로 출국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중국에서 특별한 범법 행위를 하지 않았으나 공안들에 의해 가족 구성원 전체가 조사를 받고 황급히 사역지를 떠나야 했다. 대부분 10년 이상 활동해온 장기 사역자들이었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의 이번 조치가 통상적인 건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B선교단체 관계자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들이 강제 출국 당하거나 비자 연장이 취소되는 일은 매년 있었으나 최근엔 다른 기류가 감지됐다”며 “공안들이 가족 전체를 입건해 조사하거나 조사 과정에서 한국정부에 대한 불만 등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선교사들이 추방된 공식 혐의는 외국인에 의한 포교활동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한 불만을 이렇게 나타내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고 덧붙였다. C선교단체 관계자도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장기간 활동하며 몇 차례 공안들에게 조사를 받은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철저하게 당한 적은 없었다”고 전했다. D선교사는 “얼마 전 친분이 있는 중국 공안에게 들었다”며 “이번 조사가 시 차원에서 하는 것이면 봐줄 수 있는데 위쪽에서 지시가 내려온 거라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선교사들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던 중국 정부가 이처럼 갑자기 강경 조치에 나선 배경에는 사드 배치 문제로 악화된 한·중관계가 있다는 분석이 많다. 이번 조치가 한국정부를 압박하려는 일련의 시도 중 하나라면 앞으로 추방당하는 선교사들은 더욱 늘어날 수도 있다. 한국에 도착한 선교사들은 현재 트라우마에 따른 상담과 회복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3주 정도는 외부와 접촉을 끊고 휴식을 취할 것이라고 선교단체 관계자는 전했다. 선교단체들은 6개월에서 1년 정도 휴식기를 가진 뒤 이들을 재 파송할 계획이다. 중국 화교들이 거주하는 제3의 국가가 될 가능성이 크다. C선교단체는 아직 중국에 머물고 있는 선교사들에게 노트북과 휴대폰을 모두 교체할 것, 모임을 갖지 말 것, 강제 출국에 대비해 짐을 싸놓을 것 등 위기 상황에 따른 행동 요령을 공지했다. 중국은 한국 선교사들이 활동하는 10대 파송국 중 하나다. 한국교회는 1913년 최초로 중국 산둥성에 해외선교사를 파송한 이후 현지 교회와 협력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트럼프, "무슬림 7개국 국민, 미국 입국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 등 중동과 아프리카 무슬림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전격 금지시켰다. 이들 국가의 국민들이 신청한 미국 비자발급은 중단됐으며, 미국에 도착한 시리아 난민들이 뉴욕 JKF 국제공항에서 억류되는 사태도 발생했다.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28일 트럼프 대통령의 무슬림 입국 금지 조치를 비판했으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스코틀랜드의 니콜라 스터전 수반은 미국행을 거부당한 난민들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시민단체들이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잠재적 테러 위험이 있는 무슬림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시키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7개국은 이라크, 시리아, 이란, 예멘, 리비아, 수단, 소말리아 등이다. 이들 국가 출신 국민들은 미국 영주권자라고 하더라도 미국 입국이 금지됐으며, 입국 금지대상국이 아닌 나라의 국적을 이중으로 취득한 경우에도 미국 입국이 거부됐다. 행정명령이 발효된 직후 카이로에서 뉴욕행 이집트에어 항공기에 탑승하려던 이라크인 푸아드 샤레프(51)씨 가족 5명은 탑승을 거부당했다. 샤레프씨는 “집도, 차도, 가구도 다 팔고, 나와 아내는 직장도 그만뒀다”며 “특별이민비자로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정착하려던 계획이었는데 트럼프가 우리 가족의 삶을 망가뜨렸다”고 말했다. 뉴욕 JFK 국제공항에 도착한 이라크 난민 2명은 공항에 억류됐다. 이중 한 명은 이라크 주둔 미군기지에서 통역·엔지니어로 일한 인물로 판명 나 일단 억류에서 풀려났다. 미국 비자를 소지한 이란인 3명도 오스트리아 빈 공항에서 발이 묶였다. 항공사들의 탑승 거부도 잇따르고 있다. 네덜란드 항공사 KLM은 “미국 입국을 거부당할 우려가 있는 7명의 승객에 대해 탑승 중지 조처를 했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에서 유학 중인 한 이란 학생은 “터키항공에서 구매한 2월 4일 출발 항공권이 취소됐다”고 말했다. 시리아 난민 2만7000여 명의 미국행도 사실상 좌절됐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과 국가이민법센터 등 시민단체들은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도 이번 행정명령에 강하게 반발했다. 인도 출신의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는 “고통스럽다”고 말했고, 이민자 가정 출신의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도 우려를 표시했다. 이란 외무부는 “불법적이고 비논리적이며 국제법을 위반한 결정”이라며 “미국의 모욕적인 행정명령에 대응해 이란도 미국인의 입국을 현행과 같이 계속 금지한다”고 밝혔다. 예멘 정부도 유감을 표시했다.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세계 질서를 뒤흔드는 트럼프의 정책에 유럽이 대항하자고 호소했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는 박해와 테러, 전쟁을 피해 도망 온 사람들을 종교와 관계없이 환영한다”고 말했다. 스코틀랜드의 스터전 수반도 트뤼도 총리의 트윗 글을 리트윗하면서 “스코틀랜드로 오는 것도 환영한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975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본토에서 일어난 테러 공격에서 비자 발급이 잠정 중단된 7개 국가의 국민이 미국인을 죽인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미국 법원, 무슬림 입국금지 행정명령에 제동
미국 연방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슬림 입국금지 행정명령에 잇따라 제동을 걸었다. 뉴욕 브루클린 연방 지방 법원의 앤 도널리 판사는 28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구금된 7개 무슬림 국가 국민의 본국송환을 금지하라고 결정했다. 도널리 판사는 “행정명령에 따라 이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내면 상당하면서도 만회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이유를 밝혔다. 앞서 시민단체인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은 행정명령으로 뉴욕 JFK 국제공항에 억류된 이라크 남성 2명을 대신해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ACLU는 이라크 남성 중 한명은 이라크에서 10년간 미군 통역사로 일한 만큼 본국으로 송환되면 테러 조직의 타깃이 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미군 통역사 출신 하미드 칼리드 다르위시는 19시간 동안 구금된 뒤 풀려나 기자들에게 “내가 이 나라에 어떻게 했나. 그들은 내게 수갑을 채웠다. 내가 이 손으로 얼마나 많은 미국 군인들을 접촉했는지 아느냐”며 울먹였다. ACLU는 비슷한 상황에 놓인 다른 난민에 대해서도 본국송환을 중단해줄 것을 법원에 요청했다. 이번 법원 결정으로 미 국경수비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잠재적 테러위험이 있다고 지목한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7개 국가 출신이라고 해도 유효한 비자가 있거나 승인받은 난민 신청서를 갖고 미국에 입국한 상황이라면 본국으로 돌려보낼 수 없다.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법원 결정이 이어졌다. 버지니아 주 연방법원은 워싱턴덜레스 국제공항에 구금된 영주권자 수십 명에 대해 변호사 선임권과 일주일간 강제 추방을 금지하라고 결정했다. 워싱턴 주 연방법원도 구금이나 본국송환을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발동 유예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국토안보부는 29일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그대로다. 금지된 여행은 여전히 금지되는 것이며 국가 안보나 국민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면 어느 때든 비자 거부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가 28일 발표한 입국 거절자는 109명이다. 미국행 비행기 탑승 자체가 거절된 173명을 포함, 이번 행정명령으로 영향을 받은 전체 인원은 370명에 이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루디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은 지난 28일 폭스뉴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원래 이 행정명령에 ‘무슬림 금지법’(Muslim ban)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를 합법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물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샤이 트럼프?"…미국인 57%, 반이민 행정명령 찬성
미국인 절반 이상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이민' 행정명령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보수적 여론조사기관인 라스무센 리포츠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미 유권자 57%는 무슬림 7개국 출신 난민의 입국을 한시적으로 금지하는 데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는 33%, 찬반을 결정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는 10%였다. 특히, 공화당 지지자 82%와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응답자 59%가 이번 조치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지지자는 34%가 찬성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라스무센은 이 같은 결과가 지난해 8월 여론조사에서 테러리즘 수출 경력이 있는 지역 출신 이민자의 입국을 한시적으로 금지할 것을 요구한 트럼프 당시 후보자의 주장을 59%가 지지했던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52%가 연방 정부가 국내 이슬람 테러 위협에 충분히 집중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고, 오직 16%만이 미국이 테러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5-26일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무슬림 테러 위험국가'의 국민에게 비자 발급을 일시중단하고 테러위험국가 출신 난민의 입국 심사를 대폭 강화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미국 전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시위가 이어졌고, 여야 중진 의원들과 외교관 등 정부 관리들까지 반기를 드는 등 파장이 일고 있다.
트럼프·黃권한대행 통화서 "北위협에 공동방위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30일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양국의 공동 방위능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백악관은 이날 양국 정상간 통화 사실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확장억제나 전면적인 군사 능력 등을 활용해 한국을 방어하겠다는 굳건한 약속(ironclad commitment)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고 밝혔다고 AFP통신과 교도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어 "양국 정상은 북한 위협으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공동 방위능력 강화에 조처를 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황 권한대행의 통화는 처음이다. 이번 트럼프와 황 권한대행과의 통화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위협을 높이고 있는 시점에 이뤄져 더욱 주목된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취임 후 첫 외국 순방지로 한국을 선택한 데 대한 언급도 나왔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매티스 장관의 방한 계획이 "양국 간의 긴밀한 관계를 반영하며 미국·한국 동맹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티스 장관은 내달 2일 서울에서 한민구 국방장관과 회담할 예정이다. 그의 방한은 트럼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에 따른 동맹약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에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이 돈을 많이 벌면서도 방위비를 적게 부담한다고 비판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매티스의 한국과 일본 방문을 통해 트럼프 정부가 아시아 동맹을 중시하겠다는 메시지를 강조하려 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