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인터넷 뉴스

스웨덴 교회, IS 점령지에 드론 띄워 성경 보낸다

스웨덴의 한 교회가 드론을 띄워 이슬람국가(IS)에 의해 박해받는 이라크인들에게 성경을 보내기로 했다. 이라크 북부를 장악하고 있는 IS는 최근 이라크 주민 3000여명을 포로로 잡아 방패막이로 삼고, 이 가운데 12명을 살해하는 등 더욱 잔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8일 영국의 기독교 인터넷매체들에 따르면 스웨덴 웁살라의 리베츠오드교회(요아킴 룬트퀴비스트 목사)는 올 가을 드론을 활용해 수천권의 포켓용 전자성경을 보급할 예정이다. 성경은 작은 알약이 담긴 상자(pill-box) 크기로 특별한 동력 없이 스스로 작동한다. 비용은 권당 15달러(약 1만6000원)가 소요되며 이미 후원을 받은 상태다. 요아킴 룬트퀴비스트 목사는 “교회와 신자들은 언제나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구원의 좋은 소식을 나누기 위해 성경을 출판하고 번역하며 보급해왔다”며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복음을 듣지 못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성경을 전하는 것이다. 핍박 받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시급하다”고 말했다. 성경 배포 계획에 대한 일부 비판에 대해서는 “정치적 행동이나 테러리즘에 대항하는 영적인 전쟁도 아니다”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오직 하나님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스웨덴의 복음주의 자유교회도 대변인을 통해 “드론을 활용한 성경 보급이 위험하게 보일 수도 있다”며 “그러나 이는 복음의 확장을 위해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생명의 말씀’으로 번역되는 리베츠오드교회는 스웨덴의 은사주의 교회로 1983년 20명의 성도로 시작, 3000명 규모로 성장했다.

유대인들 이슬람성지 방문에 아랍권 강력 반발

이스라엘에 사는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의 이슬람 성지인 알아크사 모스크(이슬람사원)를 집단 방문하자 요르단과 이집트 등 아랍권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16일 이집트 일간 알아흐람과 이스라엘 매체 하레츠 등에 따르면 유대교 신자 약 400명이 전날 예루살렘 알아크사 사원 부지에 들어갔다. 유대교 명절인 '티샤바브'를 기념하고자 이들은 이스라엘 경찰의 삼엄한 경호 아래 알아크사 사원 부지 내 고대 사원이 파괴된 곳을 방문했다. 이스라엘 경찰은 알아크사 사원 부지에서 예배를 보려던 일부 유대인들을 저지했다. 이들 중 2명은 현장에서 체포했다. 유대인들이 알아크사 사원에서 예배까지 할 경우 이슬람교도와의 충돌이 일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한 요르단과 이집트는 강력히 반발했다. 요르단의 이슬람 담당 장관인 와엘 아라비야트는 알아크사 사원 부지를 방문한 유대인들을 "시온주의 극단주의자들"이라고 불렀다. 이번 방문 허용이 "중동에서 종교전쟁을 촉발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와엘 장관은 또 이스라엘 경찰이 현장에서 예배를 보던 이슬람교도들을 "체포하고 구타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은 유대인들의 이슬람 성지 방문을 허용한 이스라엘 당국을 비판했다. 이집트 외무부도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이 종교적 장소의 신성함을 위반하는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에 이스라엘 경찰은 "무슬림들이 유대인 2명 주위에 모여들더니 현장에서 쫓겨나는 그들에게 소리를 질렀다"고 말했다. 경찰이 이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무슬림 3명이 가볍게 다쳤다고 알아흐람은 전했다. 동예루살렘에 있는 알아크사 모스크는 이슬람의 3대 성지 가운데 하나이다. 동예루살렘은 1967년 3차 중동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점령한 이후 지금까지 분쟁지역으로 남아 있다.

알레포 생존 5살 꼬마에 지구촌 '울컥'

시리아 내전 격전지인 알레포에서 무너진 건물 사이에서 구조된 어린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퍼지면서 지구촌이 충격과 슬픔을 나타내고 있다. 영국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다섯 살 난 남자아이 옴란 다크니시(5)는 17일 연일 폭격이 벌어지는 알레포 카테르지 마을의 무너진 주택 틈에서 다른 어린이 4명과 함께 구조됐다. 알레포 상황을 전하는 알레포미디어센터(AMC)가 공개한 영상에서 맨발인 아이는 온몸에 하얀 잔해를 뒤집어 쓴 모습으로 한 남성의 품에 안겨 구조돼 구급차 안으로 옮겨진다. 구급차 안에 있는 주황색 의자에 앉으면서 드러난 아이의 얼굴 왼쪽에는 이마의 상처에서 흘러내린 피가 잔뜩 엉겨 있고 왼쪽 눈은 퉁퉁 부어 제대로 뜨지 못하고 있다. 겁에 질렸을 법도 하지만, 소리 내어 울지도 못하고 멍한 모습이다. 얼굴을 쓱 문지르고 나서 제 손에 묻은 피를 보고서야 아이는 움찔 놀라면서 의자에 피를 닦아낸다. 알레포에서 벌어지는 참상을 보여주는 아이의 사진과 영상은 SNS를 통해 수천 차례 공유되고 있다. 텔레그래프는 이 소식을 전하면서 "다친 시리아 소년의 사진은 알레포의 공포 일부만 보여준다"는 제목을 달았다. 아이는 M10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이 병원 역시 공습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곳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병원 의료진에 따르면 이날 현재 병원에서 치료 중인 15세 미만 어린이는 13명이다. 2012년부터 반군에 장악된 알레포에서는 시리아 정부군과 이를 지원하는 러시아군의 공습이 계속되고 있으며 반군이 정부군의 포위망을 뚫으려 반격에 나서면서 치열한 교전이 벌어져 민간인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남은 진입로마저 끊겨 25만-27만5천명이 사실상 갇힌 동부 지역을 포함해 알레포에서 구호가 필요한 민간인은 200만명에 달한다. 2011년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이후 5년간 시리아인 30만명 이망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교도소에서도 1만8천명에 육박하는 수감자가 사망했다는 인권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BBC통신에 따르면 국제앰네스티는 고문 생존자 65명과의 인터뷰 등을 근거로 한 보고서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에 대항하는 봉기가 일어난 2011년 3월부터 내전이 이어진 2015년 12월까지 1만7천723명이 수감 중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는 매일 10명꼴로, 한 달에 300명 이상 사망한 셈이다. 또한 수감자들은 교도관들에 의한 심각한 폭력을 자주 겪었으며 여성 수감자들이 남성 교도관들에게 성폭행이나 성추행을 당하는 일도 일어났던 것으로 전해졌다.

IS가 불태운 12살 소녀, 엄마 품에서 마지막 말...

극단주의 이슬람 테러집단 IS가 불태워 죽인 소녀가 어머니 팔에 안겨 죽어가며 한 마지막 말이 새삼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5월 18일 영국 일간 미러는 IS가 집에 불을 질러 극심한 화상을 입고 사망한 소녀(12)의 사연을 보도했다. 소녀는 죽는 순간 그의 어머니에게 "그들을 용서해 주세요"란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졌다. 이라크 모술 지역에 살고 있던 이 소녀의 가족은 기독교인들이었다. IS는 비이슬람인에게 부과되는 '종교 세금'인 '자지야(Jaziya)'를 받아내든지 쫓아내기 위해 소녀의 집에 갑자기 난입했다. 소녀의 엄마는 "IS가 세금을 내지 않을 거면 여기서 당장 나가라고 명령했다"며 "세금을 지불하겠다고 말한 후 딸이 지금 샤워 중이니 기다려달라고 부탁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IS대원들은 기다려 주지 않고 소녀가 씻고 있는 욕실에 불을 질렀다. 엄마와 다른 가족들은 모두 불타는 집에서 탈출했지만 소녀는 치명적인 화상을 입고 엄마 팔에 안겨 사망했다. 숨을 거두는 순간 소녀는 "그들을 용서해주세요"라는 말을 남겼다.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자행하는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에도 믿음을 견고히 지키며 용서하는 기독교인의 사연이 알려지며 많은 네티즌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병원에 포탄 쏟아 붓는 잔악함

유엔 국제인도법은 전쟁 중이라도 의료진이나 환자를 공격해선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굳이 법이 아니어도 민간 의료진을 공격해선 안된다는 건 국제사회의 불문율이다. 그런데 주요 분쟁지에서 대치가 격해지면서 그런 원칙이 계속 무너지고 있다. 전쟁터 의료구호 활동의 상징적 존재인 ‘국경없는 의사회(MSF)’가 최근 겪은 수난은 ‘전장(戰場)의 잔악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AP통신에 따르면 15일 예멘 북부 하자주의 MSF 연계병원인 압스병원이 정부군의 공습을 당해 의료진 1명을 포함해 11명이 숨지고 19명이 부상했다. 예멘은 2014년 9월부터 이슬람 수니파인 정부군과 시아파인 후티 반군이 내전 중이다. 현재 수니파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정부군을 도와 반군 공격을 주도하고 있다. MSF는 “공습을 우려해 오래 전에 압스병원의 위치정보를 정부군과 반군 양측에 통보했다”면서 “병원인줄 알고도 공격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예멘에서는 지난 1년새 MSF 연계병원 4곳이 공격을 당했다. MSF에 대한 공격은 시리아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지난 6일 시리아 북부 이들립 지역에서 MSF 연계병원이 공습을 당해 의료진 4명을 포함해 13명이 사망했다. 지난 4월말에도 북부 도시 알레포의 MSF 연계병원이 공습으로 파괴되고 의사 2명을 포함해 14명이 숨졌다. 지난해 10월에는 아프가니스탄 쿤드즈에서 미군의 공습으로 MSF 의료진 12명과 환자 10명이 목숨을 잃는 등 아프간에서도 MSF는 자주 공격대상이 됐다. MSF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전 세계 분쟁지에서 공격을 받은 MSF 연계병원은 80곳이다. 공격으로 의료진이 최소 100명 숨지고, 환자와 보호자 130명이 사망했다. 병원을 공격하는 건 다분히 의도적이다. 공습을 피해 군인들이 병원으로 숨는다고 의심하거나, 생존을 위한 마지막 보루인 병원을 없애 적군이나 적에게 협조하는 민간인이 결국 떠나도록 하기 위해 일부러 공격하는 것이다.

미 유권자 35% "제3후보 투표 고려"

미국 대선에서 유권자의 3분의 1가량이 민주와 공화 양당의 후보 대신 제3 후보에게 표를 던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미 ABC뉴스가 여론조사기관 SSRS와 함께 한 온라인 조사에서 응답자의 35%는 제3당 대선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답했다. 제3 후보에게 투표하는 게 양당 후보 가운데 자신이 더 싫어하는 주자의 당선에 기여하지 않겠느냐는 물음에 '걱정된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59%였다. 게리 존슨(자유당)과 질 스타인(녹색당) 등 제3 후보에 더해 대선후보는 아니지만 경선에 참여했던 버니 샌더스(민주당·버몬트) 상원의원과 테드 크루즈(공화당·텍사스) 상원의원을 찍겠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이번 조사는 18세 이상 네티즌 231명을 상대로 18-19일 이뤄졌으며 오차 범위는 ±8.1%다.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의 조사에서도 주요 정당 후보들에 대한 반감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0%은 공화당의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에게 절대로 투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민주당의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절대로 뽑지 않겠다는 비율은 45%로 나타났다. 자유당의 존슨과 녹색당의 스타인에게 표를 주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는 비율은 각각 32%, 23%로 집계됐다. 민주당의 클린턴과 공화당 트럼프의 지지자들 가운데에도 28%가 자유당의 존슨을 찍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답했다. 클린턴 지지자 가운데 4분의 1가량은 녹색당의 스타인에게 투표할 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스타인을 선택할 수 있다는 트럼프 지지자는 14%로 나타났다. 올해 대선은 과거에 비해 여론조사에서 제3 후보의 지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미 대선서 영향력 커지는 아시아계 표심

미국 대선에서 아시아계 표심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유권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지만 일부 경합주에선 승부에 영향을 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2일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전체 유권자 가운데 아시아계 미국인의 비율은 4%다. 아시아계는 아직 숫자 면에서 대선의 판도를 바꿀 만큼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치지는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라 미국 선거에서 점점 주목받는 집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올해 대선에서 투표권이 있는 아시아계 유권자는 4년 전 선거 때보다 16% 증가한 900만 명에 이른다. 아직은 아시아계 유권자들이 히스패닉이나 흑인보다 대선에서 덜 주목받고 있지만 경합주에선 무시 못 할 힘을 가지기도 한다. 캘리포니아 주의 유권자 가운데 아시아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14.9%나 된다. 네바다(9.0%), 뉴저지(7.0%), 뉴욕(6.3%) 등에선 아시아 유권자가 전체의 5%를 넘는다. 아시아 유권자들의 힘은 2년 전 버지니아 주 의원 선거에서 잘 드러났다. 민주당의 마크 워너 상원의원은 당시 1만8천 표 차이로 재선에 성공했는데 유권자의 5%를 차지한 아시아계들의 지지가 큰 힘을 발휘했다. 대선에서 아시아계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에겐 악재다. 올해 대선에서 아시아계의 표심이 트럼프보다는 민주당의 대선주자 힐러리 클린턴에게 더 쏠려 있기 때문이다. 초당파 단체인 'APIA 투표'가 올해 초 실시한 조사에서 아시아계 유권자 가운데 트럼프에게 비호감을 느끼는 비율은 61%였다. 반대로 클린턴의 호감도는 60%를 넘었다. 또 응답자의 40%는 다른 문제를 놓고 뜻이 같다고 하더라도 반이민자 정서가 강한 후보에게 표를 주지 않겠다고 답했다. 최근 트럼프가 반이민 정책 등으로 등을 돌린 히스패닉과 흑인들의 마음을 얻으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늘어나는 인구수 등을 고려할 때 공화당이 아시아계 표심 관리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미국으로 이민한 아시아계 숫자는 히스패닉을 넘어섰다. 2065년에 이르면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수가 히스패닉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WSJ은 아시아계 인구 증가에 주목하며 "아시아계는 점점 영향력이 커지는 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공화당은 아시아계 미국인 사회에서의 입지를 걱정해야 한다"고 전했다.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