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 북한 종교 탄압 강력 규탄… 한국 교회가 나설 때

북한 23년 연속 ‘종교자유 특별우려국’ 지정

미국 상원이 북한을 포함한 전 세계의 종교 탄압을 강력히 규탄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특히 북한의 극심한 종교 박해를 지적하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 교회도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맞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공화당의 제임스 랭크포드 상원의원이 대표 발의한 ‘국제 종교 자유 지지 결의안’에는 민주당의 크리스 쿤스, 팀 케인 의원과 공화당의 탐 틸리스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결의안은 세계 곳곳에서 폭력과 투옥 등을 통해 자행되는 종교 탄압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를 규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미 국무부에 ‘국제종교자유법’과 ‘글로벌 마그니츠키 인권법’을 근거로 종교 탄압에 책임이 있는 개인과 단체에 대해 외교적 조치와 제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결의안은 “종교의 자유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뒷받침하며, 세계 안정과 평화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에 대해서는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알려진 지배 이념에 반하는 모든 종교가 국가에 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하며, 북한 정권이 종교 활동을 이유로 주민들을 탄압하고 인권을 침해하는 현실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 국무부는 2001년 이후 23년 연속 북한을 ‘종교자유 특별우려국(CPC)’으로 지정했으며, 지난해 6월 발표된 ‘2023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에서도 북한 내 종교 활동이 심각한 탄압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 공동대표 임창호 목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강조하며 대화 의지를 내비친 점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며 혼란을 야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태도가 북한 정권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미국 의회가 북한의 종교 탄압과 인권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하며 국제적 압박을 강화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임 목사는 “북한이 23년 연속 최악의 종교 박해국으로 지목된 가운데, 이번 미 의회의 선언이 북한 인권 개선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이러한 국제적 흐름 속에서 한국 교회도 북한 동포들의 신앙과 자유를 위해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 교회와 북한 인권 단체들이 지속해서 목소리를 내왔지만,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 교회가 한목소리를 내고, 북한 인권과 통일을 위한 캠페인을 더욱 확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교회가 정치적 논란을 우려해 북한 인권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온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이념적 갈등을 넘어 북한 동포를 위한 사안만큼은 교회가 하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02.15.2025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