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신 애 박사 (시카고 트리니티크리스천칼리지 교수)
우리는 지금 한인교회를 위한 교육적 기초들중 오늘은 다섯 번째 기초로서 한인교회교육을 위한 사회학적 기초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Sociological Foundation for Korean American Christian Education).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철학적 기초들이 한인교회교육을 위한 어떤 보편적이고 개별 문화를 뛰어 넘는 기초 원리들에 대한 이야기였고, 역사적 기초들이 개별 문화에 초점을 둔 문화적 경험과 각 문화 상황의 특별성에 대한 이야기, 즉 과거의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라면, 오늘 살펴보고자 하는 사회학적 기초는 그러한 특정 시기 특정 장소 중에서도 우리 자신이 발 딛고 살아가고 있는 현재, 우리가 속해서 살아가는 사회와 공동체의 모습과 작용들과 관련된 이야기라고 하겠습니다.
우리가 교육하고 섬기고 있는 한인 지체들과 자녀들은 바로 어떤 특정한 “사회” 라는 공간과 영향력 아래서 살아가고 있으며, 또한 우리 교육의 장(context)인 교회도 그 특정 사회의 구조 안에 존재해왔으며, 영향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사실 교회 자체도 사회적 기관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지요) 또한 교육이란 일반적으로 사회화 과정(한 사회의 통합 및 영속을 위해 그 사회의 통념과 가치를 수용하고 재생산해 나가는 과정)으로도 이해될 만큼 소속된 사회의 모습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에 한인교회의 교육사역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 사역자들이 그 교육을 위해 사회학적 기초를 갖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는 해당 사회 및 문화의 구조와 기능 및 현상과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과 어떻게 상호작용해 가는지를 알아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되어줄 것입니다.
사회학적 기초란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발 딛고 속하여 살아가고 있는 사회와 문화에 대한 분석적인 통찰력 즉, 사회와 문화가 어떻게 기능하고 작용하며 그 구성원들에 대한 영향은 무엇인지에 대한 전반적 의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 사회학적 기초란 단순히 현재 사회의 모습, 기능, 현상, 작용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그 영향력을 살피고 대처하는 수동적인 의미에서의 사회학적 기초 그 이상입니다.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사회학적 기초는 현재 사회의 모습, 기능, 현상, 작용 등을 기독교적 가치에 비추어 분석 및 해석하고, 이 사회가 가지는 유지하고 명맥을 이어가야 할 부분(continuity)과 반드시 바꾸어야 할 부분(change)을 분별하여, 선지자적 영성을 가지고 이 사회의 올바른 부분들을 지지하고 잘못된 부분들에 대해서 하나님의 정의를 선포하는 능동적 의미로서 작용해야만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이에 더하여 특별히 한인교회의 교육을 고민하는 우리 사역자들에게 그 사회학적 기초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의 공동체인 한인공동체에 관한 사회학적 기초에서 출발하여 한인공동체가 속해 있는 미국 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기초를 다져야 합니다. 즉 기본적으로 한인 교회는 한인공동체의 사회적 모습을 바로 알고 분석하며 기독교적/성경적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그 공동체의 필요에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하며, 또한 미국 사회의 모습을 인식하고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도 놓쳐서는 안되겠습니다. 우리 자신이 살고 상호작용하는 곳이니 말입니다.
먼저는 한인공동체의 구성원, 사회의 구조, 가치, 문화/사회 현상 및 그 원인, 문제점들 등등에 대한 기독교적 인식 및 통찰, 그리고 각각의 부문들 간의 상호작용과 그로 인한 제 현상들에 대한 기독교적 분석 및 해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것들이 우리 한인 지체들과 다음세대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 교육에 임해야 합니다. 또한 미국사회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에 더하여 한인공동체와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한인 공동체가 속한 보다 넓은 사회이며, 우리가 발 딛고 살아가고 있는 사회이므로 미국 사회의 정치 문화 경제 교육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하여 그와 같은 미국사회의 면면들이 한인공동체와 한인교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예민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실 현실적으로 우리 사역자들이 교육의 기초로서 위와 같은 사회학적 기초를 스스로 세워나가는 일이 그리 수월하지는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스스로 사고하고 분석하고 판단해서 얻은 사회학적 견해가 올바른지 그른지 확신할 수 없을 때도 분명 있을 것입니다. 한인공동체 및 미국사회의 구성원, 사회의 구조, 가치, 문화/사회 현상 및 그 원인, 문제점들 등등에 대한 사실적 정보들을 수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나, 이에 대해 그리고 그 영향에 대해 기독교적/성경적 해석을 하는 과정은, 그리고 교육 상황들에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전반적인 관점을 수립하는 과정은 실제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이에 실질적으로 우리 사역자들은 한인교회교육을 위한 사회학적 기초를 세워 나가는 일에 집중하여 에너지를 쏟는 일을 주저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는 너무 무리한 요구이며 그 보다 더 중요한 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지 않느냐 반문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감히 단언하건대, 이는 반드시 우리 사역자들이 해야만 하는 일인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아니면 그 누구도 이 일을 대신해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사회학자들의 연구들을 참고하고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우리 지체들과 자녀들을 마음에 품고 그들을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서 그러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공부하는 주체 또한 우리 사역자들이어야 합니다. 그러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판단하고 분별하고 해석하는 것은 바로 우리 사역자들의 몫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사회의 다문화적 가치가 미국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 특히 그 교육과 기독교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한 양질의 건전하고 훌륭한 자료가 있다고 합시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해도 이 자료가 결코 자동적으로 한인교회교육을 위한 사회학적 기초들 중 하나로 기능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우리 사역자들이 사역의 경험으로부터 얻은 섬기는 지체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해 동안 다져온 올바른 신학적 성경적 기초들에 의거하여, 미국사회의 다문화적 가치가 한인공동체와 한인 교회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순기능 및 역기능 등을 해석해야만, 그것이 한인교회교육을 위한 사회학적 기초들 중 하나로 기능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바라건데 우리 사역자들이, 물론 힘들고 어려울 수 있지만, 사명감을 가지고 함께 힘을 모아 한인교회를 위한 사회학적 기초를 세워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래봅니다. sinaichung@yah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