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 파송의 적정 연령

송종록 목사

(크로스선교전략 연구소)

세상만사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일어날 때가 있고 누울 때가 있다. 공부할 때가 있고 일할 때가 있다. 매사에 때를 안다는 것은 내용 못지않게 중요하다. 아무리 가치가 있는 일 일지라도 실기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선교사역도 마찬가지이다. 선교사로 준비할 때가 있고 장도에 오를 때가 있다. 만일 누군가 선교사로 헌신하기를 원한다면 어느 때가 좋은가? 이는 결코 획일적이지 않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교적 출발은 빠를수록 좋다. 나이 들어 선교지에 가면 잇 점이 있기도 하지만 언어 습득과 문화적응에서 치명적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가는 세월 앞에 장사는 없기 때문이다. 팔팔한 젊은 시절 다 보내고 인생의 단 물이 빠진 다음에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가? 그래서 서구 선교사회는 대체로 선교사 허입 연령을 35세로 제한하고 있다.

 

 

한반도에 파송된 개척 선교사들의 연령 

 

“주님. 지금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오직 어둠과 가난과 인습에 묶여있는 조선사람뿐입니다. 그러나 겸손히 순종하겠습니다.” 이는 언더우드 선교사의 기도문 일부이다. 미국 장로교 파송을 받은 그는 감리교 파송의 아펜젤러와 함께 1885년 4월 5일 한반도의 제물포 항에 입항했다. 이 날은 뜻깊은 부활절이었으며 한국 개신교 선교역사의 공식적인 원년이다. 이때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는 26세었으며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는 27세었다. 마포삼열(馬布三悅, Samuel A. Moffett)은 1889년 4월 15일에 미국 북 장로회 선교부로부터 한국 선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다음 해인 1890년 1월 인천 제물포를 거쳐서 서울 마포강변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 나이 26세었다. 그는 1904~1924년까지 평양신학교 교장으로서 주님의 일꾼들을 양성했으며 선교 46년 동안 수많은 교회를 개척했다. 저들이 만일 인생 후반의 나이에 내한했다면 언어와 문화적응은 물론 이토록 혁혁한 공헌을 할 수 있었을까?

 

세계에 파송된 선교사들의 연령

 

근대 개신교 선교의 아버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rey)는 1793년 32세의 나이에 영국에서 인도 선교사로 나갔다. 미국 최초의 해외 파송 침례교 선교사인 애도니 럼 저드슨(Adoniram Judson)은 1812년 2월 5일 그 나이 23세 때 미국 조합 교회 소속의 인도 선교사로 임명받고 인도 캘커타에 입국하였다. 하지만 그는 동인도회사와의 갈등으로 선교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이때 저드슨은 윌리엄 캐리의 영향으로 침례교로 교파를 옮긴 후 1813년 당시 선교사가 없던 버마 랭군에 입국해 그 나라의 영적 조상이 되었다. 아프리카의 성자라 일컫는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은 1840년 그 나이 27 세 때 런던 전도협회의 의료 선교사로서 아프리카로 떠났다. 중국 선교의 대부 격인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 )는 21세가 되던 1853년 9원 19일 중국을 향해 떠난다. 그는 6개월의 항해 끝에 22살 되던 해인 1854년 3월 1일에 상해에 도착했다. 당시 상해에는 학식과 경륜을 갖춘 중후한 선교사들이 많이 있었다. 그들에 비해 테일러는 선교사라고 감히 말할 수 없었다. 하지만 역사가 흐른 지금 테일러의 이름만이 반짝거린 이유는 무엇인가? 나이 차이이다. 즉, 세계 선교역사에서 별처럼 위대한 역할을 했던 선교사들은 대부분 20대에 헌신했다는 것이다.

 

한인 선교사들의 파송 연령    

 

한인세계선교의 커다란 난점 중 하나는 선교사 파송 연령이 너무 늦다는 것이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와 한국선교연구원(KRIM)이 공동으로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2021년 12월 기준 한국교회는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 167개국에 2만 2,210명의 장기 선교사를 파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율로 보면 여성 선교사가 전체 51.9%로 남성 선교사보다 많았고, 독신 선교사 성비 역시 여성이 많았다. 선교사 연령 분포를 보면 40, 50대 선교사가 전체의 67%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20, 30대 선교사는 전체 장기 선교사의 8%에 그쳤다. 이는 30여 년 전 청년들이 선교를 주도하던 모습과 달리 고령화된 현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전문인 선교에 있어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선교사 지원자 고령화 현상과 선교사 증감률의 둔화는 현재 선교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그것은 경력과 전문성으로 무장된 시니어 선교의 활성화 측면에서는 동력을 얻었지만 또 다른 측면으로는 젊은 선교 동력이 꺼져가는 것은 아닌지 심각히 염려되는 부분이다. 

 

인생 사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선교사로서 헌신의 때는 빠를수록 좋다. 

선교지는 퇴역군인 같은 사람들이 가는 땡 처리장이 아니다.

 

선교사 파송연령을 앞당겨야 하는 이유

 

그렇다면 한인 세계 선교에 있어 파송의 때를 어떻게 앞당길 수 있을까? 첫째는 선교사로 부름을 받은 사람을 가능한 빨리 보내도록 해야 한다. 그간 가는 자나 보내는 기관에서는 준비 명목으로 시간을 소모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준비는 죽을 때까지 해도 다 못한다. 최고의 준비는 기본과정만 끝낸 후 빨리 선교현장으로 보내주는 것이다. 둘째는 청소년들에게 주기적으로 선교적 도전을 하며 헌신자를 일찍부터 발굴하고 육성하는 일이다. 미국 군대의 모병관처럼 각 교단과 단체들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셋째는 비전트립 등도 대학생 위주에서 중, 고등부, 초등부 시절로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도 단순한 봉사차원을 넘어서 선교인력을 확보하는 차원으로 바뀌어야 한다. 넷째는 목회자 선교사에서 자비량 전문인 선교사 위주로 나가야 한다. 사실 목회자 선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대학을 졸업 후 군대와 신학을 마치고 나면 30대가 훌쩍 넘어 버린다. 나아가 목사 안수와 더불어 선교훈련을 받고 선교비(Fund)를 모금하다 보면 출국 날자가 한정 없이 지체되기 일쑤다. 그러나 전문인 자비량 선교사는 이런 면에서 자유로우며 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나아가 저들은 선교지에서도 운신의 폭이 넓으며 신분의 안정을 가질 수 있다.

 

맺는 말

 

한인 세계선교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는 국내, 외의 산적한 도전 앞에 직면해 있다. 특단의 대책과 희생을 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선교적 미래는 대단히 비관적이다. 그중 하나 선교사 파송 연령을 대폭 낮추어야 한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언더우드, 아펜젤러, 마포삼열, 리빙스턴, 윌리엄 캐리, 허드슨 테일러, 저드슨 같은 사람들은 모두가 청년의 때에 선교사로서 장도에 올랐다. 이처럼 선교사로서 출발은 거칠 것 없는 20대 때가 이상적이다. 생각해보라. 30, 40대의 나이에 가족을 동반한 체 타 문화권에 뛰어들면 그 몸이 얼마나 무거운 가?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사역적 기대치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선교적 열매란 나이에 반비례한다고 말할 수 없다. 특히 의료분야나 컴퓨터, 엔지니어, 교수 사역 같은 전문성을 요하는 부분은 경륜과 실력을 가질수록 좋다. 그러므로 사람마다 부르심의 때는 다를 수밖에 없다. 문제는 선교사로 소명이 확실함에도 세상에 대한 미련 때문에 청춘을 낭비하는 경우이다. 육신의 소욕을 따라서 할 것 다해보고 기력이 쇠할 때서야 선교사로 나서는 자는 그 동기부터 의심해봐야 한다. 하나님은 결코 만홀히 여김을 받으실 분이 아니다.

jrsong007@hanmail.net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