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사만 해도 한국말 잘한다고 칭찬받고, 매운 떡볶이와 김치를 잘 먹는다고 놀라는 모습을 자주 봐요.” 아이린(15)양은 카메룬 출신 부모가 한국에 정착한 뒤 태어났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그는 검은 피부색과 땋은 레게머리 뒤에 여느 한국 청소년들과 다름없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지나가는 행인이 내가 한국말을 하면 놀라지만 이제는 그냥 포기하고 해명도 안한다”며 “겉모습만 보고 자신을 외국인처럼 대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같은 나라에서 온 알리(31)씨 역시 7년째 한국에서 생활하며 비슷한 경험을 겪었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왔다고 하면 가난하고 마른 이미지를 떠올리는데, 키가 크고 건장한 나를 보고 아프리카 사람이 아닐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심지어는 ‘사자 타고 왔냐’ ‘코끼리랑 같이 살았냐’는 황당한 질문을 받은 적 있다. 양회성(워디국제선교회) 선교사는 “이런 반응이 바로 ‘착한 차별’이자 ‘불편한 관심’”이라며 “우리 사회 깊숙이 자리 잡은 고정관념이 이주민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15일 가평 필그림하우스에서 열린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주최 ‘제22회 한국선교지도자포럼’에서 ‘이주민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대담’이 진행됐다. 이번 포럼은 ‘이주민 선교’를 주제로 14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양 선교사는 네 명의 이주민 청년과 함께 각자의 경험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카메룬 출신 아이린양과 알리씨,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온 이마이(26) 전도사, 한국 남성과 결혼해 세 자녀를 둔 미국 출신 예나(35)씨가 대담에 참여해 실제로 겪은 문화적 차이와 편견을 공유했다. 대담은 음식, 날씨 등 다양한 주제별로 관련 영상을 본 후 각자의 경험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미디어에서 다문화 가정을 가난한 이미지로 묘사하며 편견을 강화하는 문제도 지적됐다. 결혼 이후 한국에 정착해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예나씨는 “다문화 가정은 갈등이 많고 외국인 아내가 경제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이 느껴진 적이 많았다”고 말했다.
10.19.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