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성신이 이룬 왕국 (대상 12:23-40) 찬 357장
사울의 나라가 다윗에게 고스란히 넘어간 것은 성신의 역사였습니다. 첫째, 모든 지파가 한마음으로 협력해 다윗을 왕으로 세웠고, 용사들이 하나 되어 나라를 세웠습니다. 둘째, 남은 자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으신 분도 성령이셨습니다. 셋째, 다윗 형제들이 준비한 잔치에 모두 기쁨으로 참여한 것도 성령의 인도였습니다. 구속의 유아기였던 시대에도 성령은 사랑과 진리로 교회를 인도하셨고, 지금도 연합과 기쁨 가운데 하나님의 뜻을 이루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령의 인도를 겸손히 따르며, 한마음으로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야 합니다.
화: 법궤를 중심한 삶 (대상 13:1-14) 찬 27장
다윗 왕국이 법궤를 모신 일은 하나님 나라의 표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첫째,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참된 왕이심을믿고(2.6) 다윗이 법궤를 옮긴 것은 하나님의 왕 되심을 증거한 것입니다. 둘째, 법궤가 들어올 때 백성이 기뻐한 것은 하나님과 그의 말씀이 기쁨의 원천임을 나타냅니다.(8) 셋째, 웃사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경외가 회복되었고, 복의 근원이 오직 하나님뿐임이 드러났습니다. 그리스도와 그의 말씀을 중심에 두는 삶이 진정한 복이며, 그 복을 기쁨으로 누립시다.
수: 다윗의 주권신앙(대상 14:1-17) 찬 93장
사울과 달리 다윗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그의 주권신앙은 어떻게 나타났습니까? 첫째, 자기 재주나 심복들의 충성보다 하나님이 주신 왕권을 그는 더 확신했습니다. 없을 때 얻은 신앙이 있을 때 더욱 더 견고해졌습니다.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임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둘째, 불레셋과의 전쟁에 서도 그는 하나님께 물어보고 순종했습니다. 전쟁이 하나님께 속한다는 소년 시절에 받은 진리를 왕이 된 후에도 변치 않았습니다. 일이 생기면 생길수록 하나님을 더 믿고 따랐습니다. 셋째, 하나님이 다윗의 권위를 높이셨습니다. 세상이 퍼진 명성과 열매도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 목적임을 인정했습니다. 복의 근원이 되리라는 아브라함의 약 속을 전수한 다윗처럼 주권 신앙을 힘쓰는 성 도로 살아갑시다.
목: 말씀 중심한 생활 (대상 15:1-15) 찬 77장
왕궁을 세운 후 법궤를 그곳으로 옮겨 율법대로 관리하는 제사장들을 세움은 말씀 중심한 삶을 보여주는 일입니다. 첫째, 왕궁 중앙에 모심은 하나님의 말씀 이 그 나라의 기초인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다윗 왕국의 상징으로 보인 교회는 그 기반이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어야 합니다. 말씀을 떠난 교회는 더 이상 교회일 수가 없습니다. 둘째, 레위 제사장이 메고 오게 한 것도 하나님의 말씀을 따른 것입니다. 일전에 웃사가 죽은 사건을 거울삼아 율법대로 레위 제사장들이 그것을 맨 것은 말씀이 모든 일의 방법임을 보여준 것입니다. 말씀을 대적하는 어떤 인간적 방법도 하나님께 용납되지 못합니다. 셋째, 성결을 강조했습니다. 말씀 중심은 성결 중심으로 나가야합니다. 말씀 자체가 진리이며 거룩이기 때문입니다.
금: 말씀과 찬양 (대상 15:6-16:6) 찬 31장
법궤를 맞이하며 찬양대를 준비한 것은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와 감격의 표현이며, 성령 충만한 예배의 모습입니다. 첫째, 말씀이 충만하면 성령이 임하시고, 영혼은 진리를 보고 찬송하게 됩니다. 둘째, 성령의 조명으로 이미 받은 복을 깨달아 진심으로 감사하게 됩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신령한 복이 내 것이 되었음을 알 때 참된 만족과 감사가 흘러나옵니다. 셋째, 형통의 역사가 나타납니다. 이웃과 가족을 위해 복을 비는 삶은 하나님이 주신 형통의 증거입니다. 그러나 그 세계를 이해하지 못한 미갈은 조롱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말씀과 성령으로 풍성한 삶을 누립시다.
토: 하나님 중심한 삶 (대상 16:7-36) 찬 64장
다윗의 감사와 찬양 속에서 우리는 삼위 하나님의 모습을 만납니다. 첫째, 하나님의 얼굴을 구함으로 감사해야 합니다. 주의 얼굴은 은혜와 평강의 상징이며, 회개하는 자를 받아주시는 사랑의 표현입니다. 둘째, 하나님의 언약에 신실함으로 감사해야 합니다. 은혜 언약에 따라 구원하시는 하나님께 순종하며 사는 삶은 감사의 삶입니다. 셋째, 헌신으로 감사해야 합니다. 모든 것을 선물로 주신 하나님께 자신을 온전히 드릴 때 우리는 더욱 큰 은혜를 누리게 됩니다. 삶 속에서 하나님을 향한 깊은 감사로 충만해지기를 소망합니다.
04.19.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