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지역 현장의 구조변화와 중남미지역 선교의 새로운 모델 개발(5)

강성철 선교사

GMS브라질 남부지부장

B. 아메리카지역 현황 및 선교의 현황

 

1) 일반적 동향

아메리카지역 특히 중남미지역은 유럽 국가들의 지배와 착취, 그리고 혼혈로 인한 종족형성 및 노동착취를 위한 흑인노예의 슬픈 역사로 점철된 민족이다. 아직도 식민 역사의 잔재들이 남아 있는 대륙으로 많은 나라들이 정치적으로 불안한 가운데 있으며, 냉전이후 정치적으로 반미성향의 좌경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빈부격차의 심화, 미약한 경제구조, 높은 실업률과 이자율 등으로 성장이 지연되고 있다. 

마약의 생산(주로 콜롬비아,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브라질 아마존 국경 등)과 중간 기착지인 멕시코와 중미 여러 나라들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브라질과 미국에서 소비되는데 마약으로 인한 피해는 엄청나다. 마약과 갱단들로 인하여 사회가 불안하며, 경제적인 연유로 인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철새처럼 이 나라 저 나라로 이동하고 있다. 한때 아르헨티나가 눈에 띄게 이동하였는데 지금은 아이티에 이어 베네주엘라 난민들이 이동하고 있으며 2018-2019년에는 한국 이민자들이 많이 이동하고 있다. 

각 나라와 사회마다 신앙, 가치, 관습, 제도들이 다르듯이 문화 또한 다르다. 그렇다면 라틴 아메리카 문화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멕시코로부터 아르헨티나에 이 대륙에는 33개국이 있고 비록 비슷한 시기에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식민지가 되었고 또 비슷한 시기에 독립하였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토착 원주민의 문화가 달랐고, 식민 정책이 달랐고, 독립 후 각 나라마다 근대화 과정이 달랐기 때문에 이를 일괄적으로 특정짓기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라틴아메리카 문화를 정의할 때 “혼합문화(culturas Hibridas)”라는 용어가 사용된다(아르헨티나 출생의 철학자이자 인류학자인 Nestor Garcia Canclini 박사의 저서 “Culturas Hibridas–Estrategias para entrar y salir de la modernidad에서 사용됨).

역사적으로 볼 때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원주민들인 인디언 문화에 식민지 지배를 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프랑스 등의 문화가 섞였고, 또 인디언들을 대량 학살하므로 부족했던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서 아프리카에서 데려온 아프리카인들의 문화가 섞였다. 

한편 독립 후에는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서 앵글로아메리카, 특히 미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므로 라틴아메리카 문화가 대중적인 것은 북미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라틴 사람들이 합리적이기 보다 감성적이고, 직선적이기 보다 곡선적인 것은 아시아인들의 문화와 유사한데 이는 인디언 문화의 영향이다. 하지만 유럽 식민지 시대에 스페인, 포르투갈, 이태리,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들로부터 많은 이주민들이 들어옴으로 기존의 인디언 문화보다는 유럽문화가 더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Santeria(무속신앙)에는 아프리카 종교 의식이 섞여 있다. 그러므로 라틴아메리카 문화는 인디언문화도 아니요 유럽문화도 아니요 아프리카문화도 아니요 북미문화도 아닌 혼합문화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교회의 해외선교 역사와 북미주 한인교회의 선교역사는 아메리카 지역 2019, 아메리카 선교백서에 기고한 박기호 교수의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2) 선교의 동향

지난 2000년간 기독교계를 주도해오던 서구교회의 몰락과 비서구교회의 급성장으로 기독교계의 무게 중심이 제 3교회로 이동하고 있음을 본다. 특히 남미는 천주교의 종주국으로서 금성철벽 같았는데 천주교의 아성이 무너지면서 개신교 부흥이 일어나고 있다.

수치상으로 볼 때 아시아와 남미와 아프리카의 교회가 급성장해가고 있으며 21세기에는 이들 교회가 세계선교를 이끌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어떤 분석가는 2030년이 되면 남미가 세계 최대의 기독교 지역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GMS 총회세계선교회는 남미와 중미, 카리브해를 비롯 멕시코, 캐나다, 미국을 포함하여 아메리카 지역으로 정하고 2019년 2월 18-21일 오렌지카운티 나침반교회에서 “GMS아메리카 지역 지부장, 코디네이터 선교전략회의”를 가졌다. 

그동안 중남미에서 가졌던 선교대회 및 전략회의는 2007년 2월 12-15일 브라질 쌍파울로prince TTawer Hotel에서 2007 GMS중남미 선교대회“를 개최하여 “라틴선교가 남긴 과제”를 다루며 “새로운 발돋음, GMS라틴아메리카 선교“란 주제를 다루었다. 

2017년 5월 17-20일 브라질 Hotel Fomte Santa Teresa에서 “복음의 횃불을 들라”는 주제로 GMS 중남미 선교대회를 개최했다.    

그동안 라틴 아메리카는 1)대부분이 카톨릭 국가이므로 복음화 된 지역으로 간주하였고 2)거리가 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항공료 및 경비가 많이 지출되므로 외면하였고 3)40/10창 운동으로 모슬렘지역인 아시아와 북방선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모아지므로 관심 밖의 지역이 되었다.  

그러나 감사한 것은 인식의 변화 속에 다시 선교의 장이 열리고 서서히 사역이 분류되어지고 선교에 있어서 협력선교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실감하면서 공동사역개발과 선교협의회, 선교전략연구소가 설립되어 한국선교부와 세계선교회와 교류가 시작되었고 선교사들의 영적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남미3국수련회, 시드(seed)선교회 모임, 외항선선교회, GP선교회, 세계밀알선교회 등이 남미에 관심을 갖고 전략회의와 선교대회를 실시하고 있다. 

아메리카지역은 영어권, 스페인어권, 포어권, 일부가 프랑스어와 화란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스페인어와 포어권이며 동일 언어권이기에 한국교회와 마주한인교회가 아메리카지역 교회들을 품고 기도하며 계속 선교사들을 파송하여 라틴아메리카에서 선교자원을 발굴하고 파송하여 세계선교의 동역자로 세워나가는 선교전략들이 세워나가기를 소원하면서 중남미 선교동향을 소개한다.

▲기독교 중심축이 이동되고 있다.

1980년대를 기점으로 기독교 중심이 축이 유럽과 북미주에서 남미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아프리카로 이동되고 있으며 기독교 인구의 분포가 백인(1910년 80%에서 2010년 40%로 감소)에서 유색인종으로 변화되고 있다.

▲카톨릭교회 감소와 개신교회의 급성장

중남미 카톨릭교회가 1960년 92%에서 2010년 77%로 감소하였으며 현재 개신교회는 엘살바도르(32%) 니카라과(30%) 브라질(26%) 과테말라(24%) 온두라스(23%) 등으로 성장하고 있다.

▲선교사를 받았던 나라에서 선교사와 함께 선교사를 파송하는 교회로...

COMIBAM(1987년 브라질 쌍파울로)을 중심으로 선교 패러다임이 바뀌어가고 있다. 그동안 선교사를 받던 라틴아메리카는 선교사들과 동역하면서 이제는 선교적교회로 발돋음하여 선교사를 파송하는 교회로 변해가고 있다. 1987-90년 60개 단체에서 1600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는데 지금은 400개 선교단체를 통해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으며 주 파송국가는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페루 등이다

 

▲선교전략의 다양화

△다민족 교회의 특성을 살려 선교후보자 발굴, 훈련, 양육, 성장, 성숙한자를 같은 문화와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파송 △북미주교회의 적극적 선교동참 즉 단기선교사 파송만 아니라 교회개척, 전문인선교사 파송, 선교지도자 개발 등에 관심을 기우려 주기를 소망 △교회개척 –얼마전 김정훈 GMS이사장과 전철영 선교총무가 브라질을 방문, 브라질에서 가장 큰 IPB장로교단 내지선교부장과 회의를 하는 중 브라질 전국 40개 지역을 선정, 함께 개척교회를 세워나가자는 제안을 받았다. 2019년 5월7일 IPB 내지선교부장인 삥에로스교회 아리바마 목사와 다시 만나 GMS 브라질남부지부와 공동 사역으로 교회개척 사역을 하기로 햐였다. △미디어 사역 확장(인터넷, SNS, Media  온라인 신학교 등) △BAM선교 개발 △이주해 온 중국인선교, 아랍인 선교

▲디아스포라 한인교회들과 동반자 선교

중남미는 타문화권 안에서 한국인만이 모여 예배를 드리는 교포교회가 많이 있다. 디아스포라 교회 안에는 풍성한 선교자원들이 있다. 언어와 문화에 익숙한 2세들이 있으며 사업에 성공한 재력가도, 다양한 실력자, 선교를 열망하는 헌신자들이 가득하다. 이들에게 선교의 의식을 심어주고 선교의 방향과 가치관을 심어주면 좋은 동반자 선교를 할 수 있다.

 

07.20.2019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