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는 고민 털어놓을 곳 없어”…마음 건강 빨간불

목회자들 잇단 자살에 “노회 차원의 자살예방 교육 시급해”

지난달 전북 익산의 한 주택에서는 일가족 4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가장인 A씨는 40대의 이중직 목회자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교계 안팎에 충격파를 던졌다. 기독교 자살예방단체에서는 ‘목회자 번아웃(정신적·신체적 탈진)’ 예방과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등 코너에 몰린 목회자들의 회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15일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최근 발표한 ‘우울장애 진단-자살 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자살 사망자들(210명)이 진단에서 사망에 이르는 기간이 평균 4.5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사망자 가운데 3분의 1은 1년 이내에 목숨을 끊었다. 이는 목회자와 같은 성직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대형교회 목회자나 그 자녀가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경우가 전해진 바 있다.

목회자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 배경은 뭘까. 라이프호프기독교자살예방센터 등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악화된 목회 환경이 큰 요인으로 꼽힌다. 뿐만 아니라 성직자라는 직업의 특성상 목회자들이 자신의 고민이나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목된다. 경제적·정신적·관계적 갈등과 같은 내·외형적 요인이 극단적 선택으로 몰고 가기도 한다. 안해용 라이프호프기독교자살예방센터 사무국장은 “팬데믹 이후 중소형 교회는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목회자들이 아픔을 공개할 경우 성도들의 신뢰가 떨어지고, 목회 현장에서 오는 압박감으로 인해 상담을 받을 여유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소한 노회 내 목회자 모임에서 자살예방에 대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목회자들의 비밀이 보장되는 상담 지원 체계 마련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구상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본부장은 “목회자들의 번아웃을 예방하려면 교단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정신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정부는 자살예방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달부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번’ 통합 운영을 시작했다.

01.20.2024

Leave Comments